광주를 포함한 국내외 공유 기업 및 단체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공유문화, 공유활동, 공유경제와 관련된 보도와 인터뷰 등을 카테고리별로 이용해보세요!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01183
광주시가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내걸고 야심차게 도입한 무인 공영자전거 ‘타랑께’가 코로나19로 제대로 달려보지도 못하고 멈춰섰다. 중단 안내는 홈페이지와 전용 앱, 회원을 대상으로 한 문자로만 이뤄졌다. `타랑께’ 자전거들이 있던 자리는 아무런 안내 없이 텅 비어있는 상태다. 16일 광주시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상무지구에서 시범적으로 운영을 시작한 무인 공영자전거 ‘타랑께’의 운영을 9일부터 일시 중단했다. 6월27일부터 광주지역 코로나19 감염이 확산된 데다 장마의 영향으로 날씨도 좋지 않아 내려진 결정이다. ‘타랑께’는 지난해부터 추진돼 왔다. 서울시 ‘따릉이’, 창원 ‘누비자’ 등을 참고해 대여·반납이 자유로운 공공자전거 시스템을 만들어보자는 것이었다. 광주시는 그동안 시청사와 지하철 역사, 각 구청 등에 공공자전거를 두고, 필요로 하는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했지만 이 공공자전거는 빌린 곳에 다시 자전거를 반납해야 하는 불편이 있어 활성화에 장애물이 됐다.전용 앱·회원에만 안내… 현장엔 안내 없어 무인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타랑께’는 원하는 곳에서 자전거를 빌려 목적지와 가까운 곳에 반납할 수 있도록 했다. 광주시는 상무지구를 시범 운영 지역으로 정해 자전거 통행량이 많은 52개소에 ‘타랑께’ 주차장 표지판을 설치하고, 총 200대의 자전거를 배치했다. 그렇게 지난 1일 ‘타랑께’가 운영을 시작해 막 시민들을 만나기 시작했는데, 코로나19라는 악재를 피해가지 못했다. ‘타랑께’뿐 아니라 기존 시청사 등에서 빌려주던 공공자전거도 운영이 중단됐다. 이와 관련해 코로나19 감염 확산이 이어지자 광주시는 지난 2일부터 방역대응체계를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로 격상하고 각종 집합이나 모임, 행사를 제한하는 조치를 내렸다. 운영이 중단되면서 ‘타랑께’ 자전거들은 모두 수거돼 각 주차장은 비어 있다. 하지만 주차장에는 왜 갑자기 자전거가 사라졌는지 등 운영 중단에 대한 안내가 전혀 없었다. 상무지구 어디에도 ‘타랑께’의 운영 중단을 알리는 현수막 하나 보이지 않았다. 시는 홈페이지와 전용 앱(타랑께 앱), 회원으로 가입한 시민들에 대한 문자로만 운영 중단을 안내하고 있다. 상무지구에서 만난 한 시민은 “자전거를 운영한다는 것을 알리는 현수막도 없었는데 곧 자전거를 싹 치웠다”며 “자전거를 왜 치웠는지, 왜 운영을 안 하는지 홍보가 너무 부실한 거 같다”고 불만을 제기했다. 한편에선 서울 ‘따릉이’, 창원 ‘누비자’ 등이 코로나19에도 계속 운영 중인 것과 비교해 ‘타랑께’가 시작과 동시에 운영이 중단된 게 아쉽다는 반응도 나온다. 서울 ‘따릉이’의 경우 자전거를 빌리는 각 거점별로 손소독제를 비치하고, 자전거를 방역소독하는 방식으로 운영을 지속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지역 내 코로나19 확산세가 심각했고, 장마도 겹쳐 잠시 운영을 중단한 것이다”며 “광주시의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가 종료되는 29일에 맞춰 운영을 재개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서울 ‘따릉이’, 창원 ‘누비자’ 계속 운영과 비교 현장에 운영 중단 안내가 없는 것에 대해서는 “자전거 이용을 위해선 홈페이지나 앱을 이용할 수밖에 없고, 회원 가입도 해야 해 이를 중심으로 안내한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타랑께’는 만 15세 이상이면 누구나 오전 7시부터 저녁 9시까지 연중무휴 이용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http://tarangge.gwangju.go.kr)와 타랑께 앱(안드로이드, IOS)을 통해 1일권(1000원), 7일권(2500원), 1개월권(5000원), 6개월권(2만 원), 1년권(3만 원)까지 다양한 이용권 구매가 가능하다. 1회 이용시간은 90분이다. 90분 내에 반납하고 재 대여하면 추가 과금은 없다. 단, 90분을 초과해 이용 시 추가요금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대여 후 1시간20분 이용 후 정거장에 반납하면 추가이용 요금은 없고 다시 대여할 수 있으며, 1시간40분을 이용한 후 반납하면 추가요금 500원이 발생한다. 스마트폰이나 홈페이지 대신 교통카드로도 이용은 가능하다.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카드(신용카드 및 대중교통카드 등)를 최초 1회 등록하면 앱을 사용하지 않아도 카드 접촉만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교통카드 등록은 스마트폰 앱에서 가능하고, 타랑께 운영센터(062-373-0740)에 전화 통화 후 등록하는 방법이 있다. 대여 및 반납은 상무지구 곳곳에 타랑께 주차장 표시가 있는 장소(50여 곳)에 해야 한다. 주차장이 아닌 장소에는 반납이 되지 않고 30분당 500원의 추가요금이 발생한다.강경남 기자 kkn@gjdream.com출처 : 광주드림(http://www.gjdream.com)
2021. 01. 20 광주교육청에서 광주공유센터를 방문해주셨습니다. 새로운 공유촉진위원회의 출범, 공유공간의 확보를 위한 협의체 구성, 학교 밖 공간을 포함한 다양한 공유공간의 활성화, 교육청과 공유광주홈페이지의 연동 방안, 교육청 공유자원의 변동사항 반영, 자율적인 공유 문화 정착 등 공유문화와 공유에 대한 인식 확산을 위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졌습니다. …
2021.01.19 355 B-1 레오클럽에서 광주공유센터를 방문하였습니다. 레오클럽은 국제 리더로써 인내심과 리더쉽을 고취 시키고 광주광역시에 봉사를 함으로 지역사회에 이바지함에 중점을 두고있습니다. 오늘 방문을 통해 레오클럽과 광주공유센터의 연대방안에 대한 의견들을 나누었습니다. 또한 협의를 통한 각 단체의 발전 방향성에 대한 토의 역시 이루어졌습니다.…
광주공유센터와 세대소통놀이문화교육공동체 통은 2021년 01월 14일 학교와 마을 연계활동에 성공적인 추진을 위하여 공동업무협약식을 진행하였습니다. 협약식에는 광주공유센터 장우철 센터장님과 세대소통놀이문화교육공동체 문예령 대표님이 자리해주셨습니다. 두 기관의 상생을 통해 앞으로 추진할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의 활성화를 기대하고…
광주광역시에서는 ‘공유문화도시 광주’ 조성을 위하여 「광주광역시 공유촉진조례」제9조 및 제10조 규정에 따라 2021년「공유단체(기업) 지정」 및 「공유촉진사업비 지원」 공모를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 공 모 명: 2021년도 공유단체(기업) 지정 및 공유촉진사업비 지원 ○ 공고기간: ’20. 12. 23.(수) ~ ’21. 1. 18.(월) 18:00○ 접수기간:…
2021년 1월 4일 보도자료 광주매일신문 http://www.kjdaily.com/ (공유꾸러미 검색 후 1/4 7면) the 대한일보 http://www.daehanilbo.com/sectionpdf/ (1/4 선택 후 12면) 무등일보 http://www.moodeungilbo.co.kr/page/ebook?date=2021.01.04 (9면) 광주타임즈 http://www.gj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23185 호남매일 http://www.homae.co.kr/article.php?aid=1609686000742401025 2021년 1월 5일 보도자료…
2012년 출범한 재능기부센터는 재능기부를 독려하고, 도움이 필요한 곳과의 만남을 지원하는 곳입니다. 광주재능기부센터 장우철 사무처장은 ‘아무리 소소한 재능이라도 누군가에게 꼭 필요한 능력이 될 수 있다’는 모토로 재능기부 문화를 확산시키는 데 앞장서 왔습니다 . 30년이 넘게 생신상을 한 번도 받아보지 못한 어르신의 백수잔치를 열어드리고, 병실에서 외롭게…
[전남인터넷신문]광주시교육청이 ‘마을샘 공유꾸러미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마을샘 공유꾸러미 프로젝트’는 학교를 중심으로 학교 인근 마을의 어린이‧청소년과 마을주민에게 놀이 물품이나 시설 공유 등을 일컫는 공유꾸러미 제공과 해당 공유꾸러미와 관련된 마을샘(학교와 협력해서 공유 놀이 활동을 촉진하는 마을활동가)의 교육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