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를 포함한 국내외 공유 기업 및 단체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공유문화, 공유활동, 공유경제와 관련된 보도와 인터뷰 등을 카테고리별로 이용해보세요!
숙박공유 플랫폼 에어비앤비가 한국 경제에 미친 효과가 1조37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에어비앤비는 지난 1월 국내 이용자 1700여 명을 포함, 전 세계 호스트와 게스트 22만8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 에어비앤비의 경제적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2일 공개했다. 호스트 수입과 게스트 소비 추정액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에어비앤비 총 방문객은 294만명이었다. 같은 해 에어비앤비가 전 세계에 미친 경제 효과는 1000억 달러(한화 110조원)로, 1조3700억원의 한국은 순위로는 세계 16위였다. 현재 국내 에어비앤비는 거주지(가정집)의 빈방에 외국인만 이용할 수 있다. 내국인은 농어촌 지역 가정집과 숙박업 등록이 된 도심 숙박업소만 이용할 수 있다. 경제적 효과 면에서 세계 순위 6위(35억 달러, 약 4조820억원)를 차지한 일본의 경우, 내국인의 에어비앤비 이용이 자유롭다. 주인이 사용하지 않는 빈집도 에어비앤비로 쓸 수 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는 싱가포르를 제외하면 한국이 숙박 공유에 제약이 가장 많은 편이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지난달 26일 기획재정부 등 관계 부처들이 합동으로 발표한 '서비스산업 혁신 전략 발표문'에선 숙박공유ㆍ승차공유ㆍ원격진료 등 기존 업계와 첨예한 갈등을 빚는 사항들이 한 차례도 언급되지 않았다. 에어비앤비 관계자는 "세계 서비스업의 흐름이 아마존ㆍ넷플릭스 같은 플랫폼 경제, 공유경제로 넘어가고 있는데 공유경제 현안이 정부 전략에 포함돼있지 않은 것은 유감"이라고 아쉬움을 전했다. 이는 지난 1월 정부가 발표했던 '공유경제 활성화 방안'과도 맞지 않는다. 해당 방안에는 "관광진흥법을 개정해 내국인에게도 도심 숙박공유를 허용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그러나 기존 숙박업계가 강한 반발을 보이면서 6개월째 아무런 후속 조치 없이 답보 상태다. 관광진흥법 개정안은 2년 6개월 넘게 국회에 계류 중이다.
○ 기사 원문 : https://news.joins.com/article/23513949
[출처: 중앙일보] 정부는 '숙박공유' 외면하는데…에어비앤비, 지난해 한국 경제에 1조3700억원 효과
○ 다온나눔 한마디
- 숙박공유 플랫폼 에어비앤비가 한국 경제에 미친 효과가 1조 37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정책은 숙박공유에 제약이 많은 편입니다. 지난 1월 정부가 발표했던 '공유경제 활성화 방안'과도 맞지 않습니다. 앞으로 한국에서 숙박공유는 더욱 발전된 양상을 보여갈텐데, 정책적인 측면은 어떻게 해소해 나아갈 것인지 지켜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2021. 01. 20 광주교육청에서 광주공유센터를 방문해주셨습니다. 새로운 공유촉진위원회의 출범, 공유공간의 확보를 위한 협의체 구성, 학교 밖 공간을 포함한 다양한 공유공간의 활성화, 교육청과 공유광주홈페이지의 연동 방안, 교육청 공유자원의 변동사항 반영, 자율적인 공유 문화 정착 등 공유문화와 공유에 대한 인식 확산을 위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졌습니다. …
2021.01.19 355 B-1 레오클럽에서 광주공유센터를 방문하였습니다. 레오클럽은 국제 리더로써 인내심과 리더쉽을 고취 시키고 광주광역시에 봉사를 함으로 지역사회에 이바지함에 중점을 두고있습니다. 오늘 방문을 통해 레오클럽과 광주공유센터의 연대방안에 대한 의견들을 나누었습니다. 또한 협의를 통한 각 단체의 발전 방향성에 대한 토의 역시 이루어졌습니다.…
광주공유센터와 세대소통놀이문화교육공동체 통은 2021년 01월 14일 학교와 마을 연계활동에 성공적인 추진을 위하여 공동업무협약식을 진행하였습니다. 협약식에는 광주공유센터 장우철 센터장님과 세대소통놀이문화교육공동체 문예령 대표님이 자리해주셨습니다. 두 기관의 상생을 통해 앞으로 추진할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의 활성화를 기대하고…
광주광역시에서는 ‘공유문화도시 광주’ 조성을 위하여 「광주광역시 공유촉진조례」제9조 및 제10조 규정에 따라 2021년「공유단체(기업) 지정」 및 「공유촉진사업비 지원」 공모를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 공 모 명: 2021년도 공유단체(기업) 지정 및 공유촉진사업비 지원 ○ 공고기간: ’20. 12. 23.(수) ~ ’21. 1. 18.(월) 18:00○ 접수기간:…
2021년 1월 4일 보도자료 광주매일신문 http://www.kjdaily.com/ (공유꾸러미 검색 후 1/4 7면) the 대한일보 http://www.daehanilbo.com/sectionpdf/ (1/4 선택 후 12면) 무등일보 http://www.moodeungilbo.co.kr/page/ebook?date=2021.01.04 (9면) 광주타임즈 http://www.gj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23185 호남매일 http://www.homae.co.kr/article.php?aid=1609686000742401025 2021년 1월 5일 보도자료…
2012년 출범한 재능기부센터는 재능기부를 독려하고, 도움이 필요한 곳과의 만남을 지원하는 곳입니다. 광주재능기부센터 장우철 사무처장은 ‘아무리 소소한 재능이라도 누군가에게 꼭 필요한 능력이 될 수 있다’는 모토로 재능기부 문화를 확산시키는 데 앞장서 왔습니다 . 30년이 넘게 생신상을 한 번도 받아보지 못한 어르신의 백수잔치를 열어드리고, 병실에서 외롭게…
[전남인터넷신문]광주시교육청이 ‘마을샘 공유꾸러미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마을샘 공유꾸러미 프로젝트’는 학교를 중심으로 학교 인근 마을의 어린이‧청소년과 마을주민에게 놀이 물품이나 시설 공유 등을 일컫는 공유꾸러미 제공과 해당 공유꾸러미와 관련된 마을샘(학교와 협력해서 공유 놀이 활동을 촉진하는 마을활동가)의 교육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