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를 포함한 국내외 공유 기업 및 단체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공유문화, 공유활동, 공유경제와 관련된 보도와 인터뷰 등을 카테고리별로 이용해보세요!
오늘은 수리수선은 왜 필요한지 수리할 수 있는 권리(수리권)이 무엇인지 함께 살펴보려고 합니다. 한 번 쓰고 버리는 일회용품이 넘쳐나는 세상, 클릭 한 번이면 무엇이든 살 수 있는 편리한 세상에서, 쓰레기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출처 : tenor
바로!!!! 고장난 물건을 다시 고쳐쓰고 오래 쓰는 일인데요. 제품의 수명을 늘려 폐기물 발생을 줄이고, 재활용보다 추가적인 에너지와 자원이 덜 소모되지만, 제품의 가치는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수리권 : (right to repair)
소비자가 스스로 제품을 수리해서 오래 사용할 권리!
전 세계적으로 수리권에 대한 요구와 권리를 쟁취하기 위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데요.
수리권을 쟁취하기 위한 해외의 사례와 국내의 현황까지 그리고 광주에서 수리 수선을 할 수 있는 곳까지 함께 카드뉴스를 통해 알아보아요!
물건을 수리하고 싶어도, 맞는 부품이 없거나, 일반적인 나사 모양이 아니거나, 수리에 관한 정보가 없어 수리를 하고 싶어도 할수 없었던 경험 다들 있으시죠?
자유롭게 물건을 스스로 고칠 수 있는 권리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높은 제품을 구입할 수 있는 권리까지도 폭넓게 이르는 말인데요.
기업에서는 더많은 소비와 판매를 조장하기 위해 물건을 의도적으로 노후화시켜, 물건의 수명을 인위적으로 제한하는 마케팅 방식을 택하기도 합니다.
세계 전자 폐기물은 연가 536억톤!!
우리나라는 81.8만톤으로 전세계 평균의 2배!!
전자폐기물을 줄이면 온실가스도 줄어든다고해요!!
소비자의 돈도 절약하지만, 지구의 자원도 함께 지키는
수리권은 자원을 채취하고 물건을 생산하고 소비하고 처분하는 일방적인 경제구조가 아닌 버려지는 자원의 순환구조를 만들어가는 데 핵심적인 권리이자 활동입니다!
프랑스에서는 옷을 수선해서 입으면 수선 보너스를 제공한다고 하는데요.
자원 고갈, 섬유 폐기물 문제, 환경 오염, 노동권 문제까지 패스트패션은
여러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데요. 패스트 패션으로부터 지구를 구하는 방법!
다시 입고 수선해서 입기. 패션 발자국을 줄이는 첫걸음입니다.
미국에서는 수리권을 지원하는 법안이 통과되고 애플은 자가 수리 인터넷 사이트를 열었다고 합니다. 한국국에도 자가 수리 프로그램이 확대되었으면 좋겠네요!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아이폰 배터리 교체 워크숍 열기도 했는데요
이야기가 궁금하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2009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처음 생긴 수리카페는
직접 만들고 고치는 삶의 태도를 실천하는 공간이라고 합니다.
커피를 마시며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카페이면서
각종 수리 도구를 갖추고 있고. 옷, 가구, 가전제품, 자전거, 장난감 등 망가진 건 무엇이든 갖고 오면 은퇴한 엔지니어나 솜씨 좋은 개인 등 자원봉사자들이 고쳐준다고 하네요.
물론 직접 수리도 가능!
수리로 이웃과 연결되는 동네 사랑방 같은 곳이 우리 주변 곳곳에도 생기면 좋겠어요
2024년 시행되어 2025년 적용되는 순환경제 사회전환 촉진법은 환경부 산하 법이지만,
수리권과 관련한 소비자 권리는 공정거래위원회 담당이기 때문에 산업부까지
수리권에 대한 법안과 내용들이 촘촘하게 마련되어야 할것같아요
지금까지 동글이와 함께 수리권을 살펴 보았어요.
일상에서 지구를 구할 수 있는 방법
소비 대신 수리 어떠세요! 그럼 다음시간에 만나요~!
. 미국 자가수리플랫폼(IFIXIT.COM)의 수리할 권리 선언문(self-repair_manifesto)으로 마무리하고자 합니다.
수리는 재활용 보다 바람직하다
원자재를 채굴하는 것보다 가지고 있는 기기의 생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입니다
수리는 비용을 절약한다
수리는 많은 경우 공짜이거나 신제품으로 교체하는 것보다 저렴하다. 스스로 수리한다면 비용이 절약된다
수리는 기술을 가르친다
기기의 작동원리를 알아내는 좋은 방법은 기기를 분해해보는 것이다.
수리는 지구를 구한다
지구의 자원은 유한하며 결국에 고갈될 것이다.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이미 가지고 있는 기기를 재사용 하는 것이다
"수리할 수 없다면 제품을 소유한 것이 아니다. 수리권을 보장하라!“
출처 : https://m.blog.naver.com/zerowaste_gj/223354510434
1월 13일부터 공유자원순환가게 & 출산영유아물품공유가게가 오픈됩니다. 기존에 운영하던 출산맘나눔가게가 종료되어 출산영유아물품공유가게로 재탄생되었습니다. 더불어 공유자원순환가게도 리뉴얼되어 새로운 물품들이 순환되어 들어와있습니다. 모든물품은 1대1 교환이 원칙이며 운영규칙 및 교환불가 품목들을 꼭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시민 여러분의 많은…
2024. 11. 26. 24년 광주공유센터 성과보고회가 광주광역시청 2층 무등홀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바쁘신 와중에도 많은 기관 관계자분들이 참석을 해주셔서 자리를 빛내주셨습니다. 식전 공연을 시작으로 우수공유활동가 시상 및 참석해주신 기관들에 대한 감사장을 전달해드렸습니다. 또한 올 한해 광주공유센터가 진행했던 사업들에 관하여 영상시청으로 보고하였습니다.…
메리 수리스마스!! 버리면 안돼~! 버리면 안돼~! 수리를 통해 물건에 새 생명을 불어넣고, 환경 보호에도 기여하는 여러분을 찾습니다! [공모전 개요] - 공모대상 : 광주시민 누구나 - 공모기간 : 2024년 11월 6일(수) ~ 12월 6일(금) - 접수방법 : 신청 링크 작성 및 제출 후, 사진 첨부하여 이메일 제출 * 신청 링크 : https://bit.ly/제2회광주수리수선공모전 * 사진 첨부할…
2024. 11. 20 광주공유센터와 남구가족센터와의 업무 협약식을 진행하였습니다. 서로간의 진행되는 사업에 관하여 적극적 협조를 나타내며 앞으로 양 기관의 상생방법에 대한 논의도 진행되었습니다. 업무협약으로 인한 양 기관에 좋은 결과가 이어지길 바라겠습니다.
2024.11.20 광주공유센터와 광산구가족센터와의 업무 협약식을 진행하였습니다. 서로간의 진행되는 사업에 관하여 적극적 협조를 나타내며 앞으로 양 기관의 상생방법에 대한 논의도 진행되었습니다. 업무협약으로 인한 양 기관에 좋은 결과가 이어지길 바라겠습니다.
2024. 11. 13 광주공유센터와 광주서구가족센터와의 업무 협약식을 진행하였습니다. 서로간의 진행되는 사업에 관하여 적극적 협조를 나타내며 앞으로 양 기관의 상생방법에 대한 논의도 진행되었습니다. 업무협약으로 인한 양 기관에 좋은 결과가 이어지길 바라겠습니다.
2024. 10. 31 래미학교에서 광주공유센터를 방문했습니다. 학생들은 라운딩을 통해 다양한 공유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가졌으며, 실제로 가져온 물품들을 공유자원순환가게에서 물물교환하여 필요한 물건들로 교환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신청 부탁드립니다 :D
요즘 제일 핫한 간식! 달콤하고 맛있는 식감을 가진 우리 전통 약과를 광주공유센터에서 만들어보세요~! 광주공유센터로 문의 접수 바라며 선착순 조기 마감 될 수 있습니다. 062) 714-1365
2024 . 08 . 12 시영종합사회복지관에서 광주공유센터를 방문해 주셨습니다. 공유가 무엇인지에 관해서 배우고, 광주공유센터의 공유물품과 공유공간도 둘러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특히 공유자원순환가게에서 직접 물물교환을 해보면서 즐거워했답니다! 공유센터는 여러분을 언제나 환영합니다^^
2024 . 08 . 09 광주남구장애인복지관에서 광주공유센터를 방문해주셨습니다. 공유센터에서 이루어지는 공유문화활동과 새활용을 통한 자원순환을 보시며 다양한 의견이 오가는 뜻깊은 시간이 되었습니다. 또한 자원순환가게와 출산맘나눔가게를 방문하시면서 현장을 직접 눈으로 보고 가셨습니다. 앞으로도 더욱 자원순환에 대하여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024. 08. 07 광주공유센터에서 개최하는 '공유의 날'(09월07일) 행사에 참여해주는 기관들과 함께 회의를 진행하였습니다. 공유의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분들을 논의하며 다양한 의견들을 제시해주셨습니다. 참석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