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를 포함한 국내외 공유 기업 및 단체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공유문화, 공유활동, 공유경제와 관련된 보도와 인터뷰 등을 카테고리별로 이용해보세요!
우리는 왜 공유를 해야할까요?공유는 우리에게 어떤 좋은 점을 가져다 줄까요?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봐야하는 카셰어링에 대한 소식입니다.
“카셰어링이 뿌리내려야 한다는 당위성은 확실하다. 카셰어링으로 자동차 운행 총량이 줄어들면 그만큼 탄소 배출도 줄어들어서다.실제 독일의 경우 카셰어링 가입자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54% 감소했으며, 대중교통 이용률은 82.5% 증가했다고 한다.”
-기사 본문 중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셰어링은 환영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그러나 현실은 암담하다.정부 세수 논리와 상충한다는 이유로 카셰어링이 등한시되고 있어서다.자동차 구매가 줄면취득에 따른 각종 세수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현재 한국의 경우 자동차 관련 세금이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한다.특히 지방자치단체의 막강한 세원인 자동차 취득세 등은 지자체 간 갈등 요소일 만큼민감한 사안이다. -중략- 카셰어링 초기 앞다퉈 도입을 외쳤던 자치단체들이 근래 카셰어링을 은근 외면하는 배경이기도 하다.”
-기사 본문 중
앞서 살펴본 기사 내용과 같이 자동차에 대한 세율이 높은 우리나라에서는 카셰어링이 활성화 될 수록 세수가 줄어드는게 사실인데요. 세수가 줄어들게 되면 세수 확보를 통해 각종 정책을 펼쳐야 하는 정부와 지자체 입장에서는 당장 어려울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장기적인 입장에서 본다면 자동자를 유지하기 위한 비용이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른 통행량도 줄어들면서 관련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점도 분명 사실입니다.어느 쪽이 더 효율적인가는 충분히 시간을 두고 고민해야할 문제라고 생각되네요.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어떤 의견을 지지하시고 싶으신가요?
이미지 출처 – 한국경제 “카셰어링, 세금 논리에 휘둘려선 안돼 ( 2014/ 3/ 25)
-> 기사 자세히 보기: 카셰어링, 세금 논리에 휘둘려선 안돼
출처:http://sharehub.kr (CC BY)
전국 민간 화장실이 공공기관 관리를 받는 개방화장실로 대거 바뀔 것으로 전망된다. 개방화장실 확대는 서울 강남역 인근 화장실 '묻지마 살인'의 재발을 막기 위한 방안이다. 기사링크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5/23/0200000000AKR20160523053700004.HTML?input=1179m 출처 : 연합뉴스 2016-05-23 justdust@yna.co.kr
광주시 북구(청장 송광운)가 주민들의 소규모 짐을 운반 할 수 있는 우리 마을 공유트럭을 운행한다. 북구는 오는 3일 오전 11시 북구청 광장에서 주민 성금 및 광주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지원으로 마련한 공유트럭 '헬프 카' 운행식을 개최하고 본격 운행에 들어간다고 2일 밝혔다. 기사링크 : http://media.daum.net/press/newsview?newsid=20160502121930184 출처 : 연합뉴스 보도자료 …
정부청사·국책연구단지∼오송역 우선 서비스 (세종=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세종시가 카셰어링 시범도시가 된다. 2020년까지 세종시 어디에서라도 5분 안에 카셰어링(차량공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청사진도 제시됐다. 국토교통부와 세종시는 25일 업무협약(MOU)을 맺어 세종시를 카셰어링 시범도시로 지정하고 카셰어링 서비스를 활성화하기로 했다고 24일 밝혔다.…
광주신세계가 사회 나눔 활동으로 진행하고 있는 ‘희망장난감도서관’이 인기를 끌고 있다. 희망장난감도서관은 아동들에게 장난감을 빌려주고, 창의력 개발과 심리 프로그램 등을 제공해주는 복합 놀이문화 공간이다. 광주신세계는 지난 2007년 10월 광주시 북구 오치동에 희망장난감 도서관 지역 1호관, 2014년 11월에 광산구 우산동에 2호관을 연데 이어 지난해 7월에 광주시청사…
에이비스·SK·월그린·아마존 등 수익성 높이는 공존 방안 마련 공유경제는 스타트업(창업 초기 벤처기업)의 영역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대기업들도 제휴나 인수합병(M&A) 등을 통해 공유경제 모델을 속속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통 기업의 수익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이고, 같은 시장에서 충돌하기 쉬운 대기업과 스타트업이 공존(共存)하는…
[머니투데이 김태형 이코노미스트] [편집자주] 색다른 시각을 통해 모두가 행복해지는 세상을 만들고자 합니다.[[같은생각 다른느낌]찬반 논란 속 저성장경제하 급격한 확산 예상 ] /그래픽=임종철 디자이너 “공유경제 같은 혁신 사업모델이 하드웨어 가치를 약화시키고 소프트웨어와 플랫폼으로 경쟁의 판을 바꾸고 있다.” 최근 개인 소유를 기반으로 한 전통적인 자본주의…
【서울=뉴시스】최동준 기자 = 16일 오전 서울 신촌 유플렉스 광장에서 환경부 수도권대기환경청이 주최한 ‘2015 친환경 교통 주간’ 대중교통 이용 장려 캠페인에서 송형근(뒷줄 왼쪽 네번째) 수도권대기환경청장, 개그맨 안상태(뒷줄 왼쪽 세번째)를 비롯한 레이싱 모델들, 학생들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15.09.16. photocdj@newsis.com OECD ITF ‘도시교통의 신(新)패러다임’…
공유경제는 불타는 화산이다. 이제 모든 준비는 끝났고 손대지 않아도 저절로 곧 폭발할 것이다. 그런데 그 화산은 지구 전체를 감싸 안고 있다. 핵폭탄 100만 개의 위력 이상일 것이다. 핵폭탄 100만 개의 위력은 지구를 산산조각내고 멸망시키겠지만 ‘공유경제’의 핵폭탄, ‘공유경제’의 화산은 충격은 그 이상이되 지구를 멸망시키지 않고 오히려 성장 발전시킬…
이 글은 CC 글로벌 써밋 2015에서 행한 요하이 벤클러 교수의 발제(신하영 번역)를 슬로우뉴스 원칙에 맞게 다시 편집해 3편으로 나눈 것이다. (편집자) →커먼즈 개념과 자본주의의 미래: ‘공유경제’와 전 지구적 불평등 커먼즈 개념과 자본주의의 미래: ‘경제적 인간’에서 ‘협업적 인간’으로 커먼즈 개념과 자본주의의 미래: 착취적…
공유경제 같은 혁신 사업모델이 하드웨어 가치를 약화시키고 소프트웨어와 플랫폼으로 경쟁의 판을 바꾸고 있다.” 최근 개인 소유를 기반으로 한 전통적인 자본주의 시장에서 새로운 개념의 공유경제(Sharing Economy)가 메가트렌드로 급부상하고 있다. 지난 4일 삼성전자 시무식에서도 권오현 부회장은 급변하는 IT업계 현실에서 새로운 경쟁의 판을 주도할 역량과 시스템을…
예전에 차량공유서비스를 소개해 드리면서 한번 언급이 되었던 정보인 것 같습니다. 포드와 함께 미국 내 자동차 ‘빅3’ 중 하나인 GM이 차량공유서비스 업체 리프트에 5억 달러, 6000억 원 가까운 거금을 투자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차량공유 서비스인 ‘우버’와 같은 기업들이 전통적인 자동차 기업에게는 위협이 될 것이라는 전망과는 정반대의 행보였습니다. …
서울 구로구에서 주민들과 함께 좋은 책을 공유하며 독서문화를 확대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서로다독 추천도서’에서는 분기별로 주제를 정해 그 주제에 맞는 책들을 추천한다고 합니다. 올해 1분기에는 봄에 읽기 좋은 책을 주제로 하여 영·유아 대상 도서는 마이크둘리 작가의 ‘진짜로 꿈이 이루어졌어’와 강승임 작가의 ’15소년 안전표류기’ 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