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를 포함한 국내외 공유 기업 및 단체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공유문화, 공유활동, 공유경제와 관련된 보도와 인터뷰 등을 카테고리별로 이용해보세요!
싱가포르 창이 공항 입국장을 나서 1층으로 향하면 긴 줄이 여럿 눈에 띕니다. 택시를 타려는 사람들입니다. 싱가포르에서는 택시가 정차할 수 있는 구역이 페인트로 표시돼 있는데 이런 곳이 아니면 택시를 세워둘 수 없습니다. 공항도 예외는 아닙니다. 택시들은 승객을 기다리며 서 있지 못하고, 빈자리가 날 때마다 한 대씩 들어옵니다.
택시가 들어오면 줄 서 있던 사람들이 한 무리씩 택시를 탑니다. 함께 출장 간 일행이 줄 서 있는 동안 택시가 얼마나 자주 들어오는지 나가서 헤아렸습니다. 1분에 서너 대꼴. 비행기에서 쏟아져 나온 인파를 감당할 수 없어 보였습니다. 30분은 더 기다려야겠다 싶었다가, 승차 공유 서비스 '그랩(Grab)'을 떠올렸습니다.
● '동남아 우버' 그랩의 첫인상
그랩 앱을 깔고 간단한 본인 인증 절차를 거친 뒤 목적지를 입력했습니다. 우리 돈으로 만 원이면 갈 수 있다는 메시지가 떴고 5분 만에 차가 잡혔습니다. 스마트폰 지도에 표시된 게이트로 나가니 승용차들이 늘어서 있었습니다. 일종의 그랩 승차장인 듯 보였습니다. 뒤섞여 있는 자가용 사이에서 예약한 그랩 차량을 찾았습니다.
휴대전화를 보여주니 운전자는 자기 승객인 것을 확인하고 차에 타라고 했습니다. 목적지도 요금도 서로 알고 있었기 때문에 별다른 말은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택시와 달리 미터기가 없었고, 차에는 운전자의 것인 듯한 냄새가 배어 있었습니다. 한밤중 싱가포르의 고속도로를 20분 달리는 내내 다른 사람의 차를 얻어 탄 느낌이었습니다.
● 동남아 토종 업체, 승차 공유를 일상으로
그랩은 동남아시아 '토종' 승차 공유 서비스입니다. 2012년 말레이시아에서 시작한 뒤 지금은 본사를 둔 싱가포르를 비롯해 베트남,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8개국에 퍼져 있습니다. 그랩 운전자는 710만 명, 앱을 사용하는 인구도 1억 명 정도 됩니다.
싱가포르에서는 출근길에 그랩 차량을 기다리고 그랩 차량에서 내리는 직장인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버스나 택시같이 보편적인 교통수단이 된 셈입니다. 동남아시아에서 승차 공유가 보편화된 것은 그랩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 시장 원리에 기반한 독특한 요금제
그랩은 이용자에게 한 가지만 묻습니다. '이 가격이면 가겠냐'는 것입니다. 승객은 그 가격을 받아들일지, 말지만 결정하면 됩니다. 요금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그때그때 정해집니다. 차를 찾는 승객이 많으면 요금이 올라가고, 승객을 기다리는 차가 많으면 요금이 내려가는 식입니다.
요금은 그랩의 영업 기밀인 알고리즘에 따라 제시됩니다. 대체로 택시 요금과 비슷하거나 조금 저렴한 수준입니다. 하지만 수요가 몰리면 택시 요금의 두 배 넘게 뛸 때도 있습니다. 현지 이용자들의 말을 들어보면 관광지에서 사람들이 빠져나올 즈음에 이런 일이 종종 발생한다고 합니다. 이런 때 현지인들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택시, 따블!"을 외치는 심정으로 그랩을 이용합니다.
타기 전에 가격이 정해지면 달라지는 것이 많습니다. 승객은 차가 막히거나 길을 잘못 들어 요금이 더 나오지 않을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현지인들이 가장 자주 언급한 그랩의 장점이기도 합니다. 부수적인 효과도 있습니다. 운전자 입장에서도 승객을 최대한 빨리 데려다주고 다른 승객을 태우는 편이 나으니까, 효율적으로 운행할 유인이 생깁니다.
● 승차 공유도 하나의 교통 수단…택시와 상생 도모
물론 이런 방식이 택시 요금제에 비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버스, 지하철, 택시 외에 선택지가 하나 더 늘어나 편리해졌다는 것이 현지 이용자들의 공통적인 반응입니다. 차가 잘 안 잡힐 때 돈을 더 내고 그랩을 탈지, 기다렸다가 택시를 탈지 선택할 수 있게 됐다는 이야기입니다.
현지 택시기사들도 그랩과의 공존을 나쁘게만 받아들이지는 않습니다. 현지 기사 얘기를 들어보면 일시적으로 수요가 늘어나 그랩 요금이 조금이라도 오르면 택시를 찾는 사람들이 많아진다고 합니다. 그 말을 들으니 처음 공항에서 내렸던 때 봤던 긴 택시 줄이 떠올랐습니다. 차량 수요가 늘 많은 공항이니, 그랩을 두고 긴 택시 줄이 늘어서 있던 이유를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싱가포르처럼 택시와 승차 공유 서비스가 큰 갈등 없이 공존하는 사례가 흔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절충안을 찾아가다 보면 택시와 승차 공유의 상생이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싱가포르는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진='그랩(Grab)' 홈페이지)
출처 : https://news.v.daum.net/v/20190115101800779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01183 광주시가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내걸고 야심차게 도입한 무인 공영자전거 ‘타랑께’가 코로나19로 제대로 달려보지도 못하고 멈춰섰다. 중단 안내는 홈페이지와 전용 앱, 회원을 대상으로 한 문자로만 이뤄졌다. `타랑께’ 자전거들이 있던 자리는 아무런 안내 없이 텅 비어있는 상태다. 16일 광주시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http://m.newspim.com/news/view/20200715000722 [전북=뉴스핌] 이백수 기자 = 전북도는 유휴자원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도민의 편의를 증진하고 사회적·경제적 가치창출을 도모하고 지역의 공유문화 확산을 위해 온라인 기반 전북형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사업을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전북형 공유경제 온라인 플랫폼 구축사업은 공공과 민간이 보유하고 있는 공유 가능 자원을 다양한…
숙박공유 플랫폼 에어비앤비가 한국 경제에 미친 효과가 1조37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에어비앤비는 지난 1월 국내 이용자 1700여 명을 포함, 전 세계 호스트와 게스트 22만8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 에어비앤비의 경제적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2일 공개했다. 호스트 수입과 게스트 소비 추정액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에어비앤비 총…
진천 광혜원 플리마켓이 지역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있다. 사진은 지난달 열린 플리마켓의 한 장면. ⓒ 진천군 [충북일보=진천] '착한 공유경제'를 모토로 시작된 화랑광혜원 플리마켓 6월 행사가 14일 오후 4시부터 7시까지 광혜원 화랑공원에서 열린다.2년전에 시작돼 한 달에 한번 씩 정기적으로 열리고 있는 화랑광혜원 플리마켓은 광혜원면행복학습센터를…
[산업일보]중국 공유경제는 스마트폰 보급 및 모바일 결제 확대, 정책적 지원 증대 등에 따라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나, 최근 일부 문제점들이 노출되면서 제도 정비가 강화되고 있다.대외경제정책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공유경제는 성장세 둔화로 인해 자본 투자 규모가 감소했지만, 소수 기업으로 집중되면서 유니콘 기업 수는 사상 최대인 34개를 기록했다.중국 공유경제는…
개인간 디지털·공유경제 규모 2015년 204억→작년 1천978억원 공유경제 (CG)[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정수연 기자 = 에어비앤비나 카풀 등 온라인 기반의 개인 간(P2P) 공유경제 규모가 3년 만에 10배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숙박공유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90%에 달했다.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 간 디지털·공유경제 규모는 1천978억원으로…
[사진=픽사베이] [이뉴스투데이 송혜리 기자] # A씨는 주차면 공유서비스를 이용 중이다. 주차장 시설이 없는 ‘핫 플레이스’는 늘 주차가 최대 고민거리였는데, 주차면 공유서비스를 이용하고 나서는 인근 유휴 주차면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됐다. # B씨는 20개월 아기를 위해 장난감 공유서비스를 이용 중이다. 공유 플랫폼에서 아이 성장 단계에 맞는 장난감을 빌려오고…
2008년 미국 하버드대 법대 로런스 레식 교수가 최초로 사용한 개념인 ‘공유경제’는 한번 생산된 제품을 여럿이 공유해 쓰는 협력 소비를 기본으로 한 경제 방식을 뜻한다.즉, 물품은 물론 생산설비나 서비스 등을 개인이 소유하지 않고 필요한 만큼 빌려 쓰고 자신이 필요 없는 경우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는 공유 소비의 의미를 내포한다. 사진제공:개러지키친 공유경제는…
국토부, '토석정보공유시스템' 확대 공공기관이 발주한 공사 현장끼리 실시간으로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의 의무사용기관이 확대된다. 건설공사에서 낭비되는 흙을 줄이기 위해서다. ▲ [출처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는 '토석정보공유시스템(TOCYCLE) 이용 요령' 개정 고시를 통해 토석정보공유시스템 의무사용 기관 범위를 기존 국토부 소속 산하기관에서…
50+세대 창업, 공유점포 활용한다 ‘나누다키친’ 공유경제 기반 소자본 창업모델 발굴 [뉴스토마토 박용준 기자] 서울시가 50+세대의 새로운 일·창업 모델을 모색하며 활로 개척에 나선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위대한상사와 공유경제에 기반을 둔 50+세대의 안정적인 창업 모델 발굴에 나서는 내용으로 4일 협약을 맺었다. 위대한상사는 점포공유 플랫폼…
- 공유주방 심플키친 임태윤 대표 인터뷰[디지털데일리 이중한기자] “단순하게 시장 규모를 계산했을 때, 한국은 7500개의 공유주방 지점을 수용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 75만개의 음식점이 있다. 이중 10% 정도가 배달 음식점이다. 공유주방 한 개 지점에 10개 정도의 음식점이 입점한다. 7만5000개의 배달 음식점이 모두 공유주방으로 대체되면 7500개의 공유주방이 생겨나는 것이다.…
공유경제 10년의 빛과 그늘AI·블록체인 등 신기술 업고 날개2025년 3350억 달러, 시장 급성장택시 등 정규직 일자리 사라지고임시직 저임금·고용 불안에 신음 세계 최대의 자동차 공유기업인 우버가 2009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창업한 지 꼭 10년이 됐다. 자동차와 숙박공유(에어비앤비)에서 시작된 공유경제는 오피스·장비 등을 거쳐 유통·배달 분야(아마존 플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