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를 포함한 국내외 공유 기업 및 단체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공유문화, 공유활동, 공유경제와 관련된 보도와 인터뷰 등을 카테고리별로 이용해보세요!
소유 않고 나눠쓰는 공유경제 ‘확산’셰어하우스·카셰어링·패션셰어링 ‘붐’
![]() |
소유하지 않고 나눠쓰는 공유경제가 확산되면서 광주지역에도 대학가를 중심으로 셰어하우스가 자리잡고 있다. 사진은 광주 북구 매곡동에 위치한 한 셰어하우스의 거실. /구름집쉐어하우스 제공 |
![]() |
광주 북구 매곡동에 위치한 한 셰어하우스의 침실. /구름집쉐어하우스 제공 |
소유하지 않고 나눠쓰는 ‘현대판 아나바다’로 불리는 공유경제가 확산되고 있다.
공유경제란 이미 생산된 제품을 소유하지 않고 여럿이 공유해 쓰는 협업 소비를 기본으로 한다. 대표적으로 한집에서 여러 명이 사는 ‘셰어하우스’가 공유경제다.
또 자동차를 빌려 타는 ‘카셰어링’, 의류나 장신구를 대여하는 ‘패션셰어링’까지 공유문화가 다양한 분야로 번지고 있다.
광주에도 셰어하우스가 대학가를 중심으로 젊은 층의 새로운 주거형태로 떠오르고 있다.광주 북구 매곡동에 있는 한 셰어하우스.
49평대 아파트를 리모델링해 꾸며놓은 이곳엔 7명의 입주자가 함께 살고 있다. 개인 공간인 침실을 제외한 부엌과 욕실·화장실 등은 공동으로 사용한다.
보증금은 월세의 두 배로 책정됐다. 월세는 다인실 20만원, 1인실 30만원선이다. 보통 고시원이나 원룸보다는 쾌적하고 넓은 공간을 보다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회초년생이나 대학생 등이 주로 찾고 있다.
대학생 A(22·여)씨는 “혼자 살다 보니 끼니를 해결하기도 어렵고 무서울 때도 많았는데 한집에서 다른 입주자들과 가족처럼 지내고 있다”며 “보통 원룸보다 저렴하고 인테리어도 깔끔해 만족한다”고 말했다.
자동차 셰어링은 대표적인 공유경제 서비스로 꼽힌다. 자동차 셰어링은 차량을 구매하지 않고 원하는 장소에서 필요한 시간 만큼 차량을 대여하는 서비스다.
대부분 서비스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뤄진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원하는 시간과 장소를 입력한 후 차고지와 차종을 선택한다.
예약한 시간에 맞춰 장소에 도착하면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스마트키로 차량을 이용할 수 있다.
기존 렌터카와의 가장큰 차이는 현장방문이 없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이 가능한 점이다.
또 30분단위의 짧은 시간도 이용이 가능하며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후불결제가 가능하다.패션업계에도 셰어링 문화가 퍼지고 있다.
웹이나 모바일 앱을 통해 의류, 장신구, 가방 등을 대여한다. 단순 패션제품 대여 서비스뿐만 아니라 전문스타일리스트가 사용자의 정보를 고려해 옷을 골라 대여해 주는 서비스까지 등장했다.
패션셰어링의 경우 소비자가 원하는 의류를 웹이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대여하면 정해진 기간 동안 이용한 뒤 기간이 끝나면 다시 수거해가는 방식이다.
한편, 컨설팅기업 PwC는 세계 공유경제 시장규모가 지난 2013년 150억 달러에서 2025년에는 3천35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한아리 기자 har@namdonews.com
출처: http://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66094
공유경제의 우려요인, “누구를 위한 공유경제인가.” 이곳 공유허브는, 서울시의 공유경제 정책과 이 정책이 우리 사회에 어떤 선한 영향력을 끼칠 것인가에 대해서 시민들과 토론을 하고 생각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이런 논의 덕에 공유허브는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경제가 어떤 것인지 알려줄 수 있게 되었고 나아가 공유경제가 서울을 이해하는 하나의 새로운 코드로 자리잡을…
의류 공유서비스 ‘프로젝트 앤’이 남긴 것들 2016년 9월 23일, SK플래닛은 ‘프로젝트 앤’이라는 서비스를 공식 런칭했다. ‘프로젝트 앤’이란 패션 스트리밍 서비스, 즉 의류를 공유하는 서비스였다. 옷을 개인이 소유하지 않고 패션 플랫폼과의 연계를 통해 옷이 필요한 시간에 자신이 원하는 장소에서 옷을 받아 입을 수 있도록 하겠다는 야심 찬 런칭 당시의…
공유오피스 스페이시즈 체험기 공유경제가 대세다. 차도, 옷도 빌려 입는다. 최근엔 업무공간인 사무실을 빌려주는 공유오피스도 인기를 끌고 있다. 무심코 “그냥 예쁜 카페를 가도 될 일”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공유오피스에 숨은 함의含意는 작지 않다. 공유와 공감, 이 시대적 철학이 이곳에 깃들어있기 때문이다. 더스쿠프(The SCOOP)가 공유오피스를 직접 써봤다. 그…
국내에선 아직 불법에 가깝지만 미래에는 풀릴 차량공유 서비스에 적합한 자율주행차가 도로 위를 달린다.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박정호)은 연세대 글로벌융합공학부 김시호 교수 연구팀과 손잡고 국내에서 처음으로 경차에 딥러닝 기반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해 임시운행 허가를 취득했다고 4일 밝혔다. 경차는 차량 내 공간이 좁아 자율주행차용 장비 탑재에 어려움이 있어,…
“일본의 공유경제 – 지자체의 사회문제해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소유에 대한 또 다른 시각을 갖도록 하였습니다. 과거의 전통경제와 현재의 공유경제는 아래의 표와 같이 여러가지 다른 특징들을 나타냅니다. 우선 소유에 대한 인식이 변화했습니다. 배타적 소유보다 이용가치를 중시하는 합리적인 소비가 증가하면서 교환, 거래, 대여 등의 공유경제가 급속히…
[문화뉴스] 최근 경제 뉴스를 살펴보면 모두 4차 산업혁명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그만큼 전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경제 트렌드로서 부각되는 몇가지가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공유 경제이다. 공유 경제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의해 서로 공유하는 활동을 말한다. 한국에서도 공유 경제의 중요성을…
요즘 공유문화 열풍이 불면서 다양한 공유활동이 시작 되었습니다. 공유는 남이 소유할 필요 없이 필요할 만큼 빌려주고 필요 없을 때 다른 사람에게 빌려준다는 뜻입니다. 쉽게 말하면 ‘나눠쓰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공유를 통하여 자신의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품의 폐기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보통 공유할 수 있는 것은 차, 자전거, 방, 책, 옷 등…잠깐만,…
"블록체인은 공유경제의 엔진입니다. "블록체인이 공유경제가 가지는 신뢰의 딜레마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블록체인은 수많은 참여자의 거래 정보를 모두의 컴퓨터에 분산해 저장하는 기술이다. A와 B가 직거래하면 해당 데이터(거래장부)가 블록(Block)이 돼 저장된다. 거래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C와 D, E의 컴퓨터에도 저장된다. 거래 내용을 몰래 수정하거나…
에어비앤비 이용 국내여행객 5년 연속 꾸준히 증가하는데 현행법은 도시거주 민박 불허 카풀 등 승차공유 서비스는 출퇴근 때 예외로 허용되나 해석 두고 불법 논란만 지속 정부·국회는 규제혁신 소극적 공유 숙박, 승차 공유 등 해외에서 활성화되고 있는 대표적인 공유경제 산업들이 국내에선 규제에 가로막혀 발걸음조차 제대로 떼지 못하고 있다. 기존 이해집단인…
민주신문=허홍국 기자] 공유경제의 바람이 부는 가운데 국내 최초의 보안 회사인 삼성 에스원이 스마트오피스 시장에 뛰어들었다. 공공기관과 대형빌딩, 연구기관 등 대형 고객의 건물 관리 및 보안 역량을 기반으로 렌탈로 대변되는 공유경제의 가치 창출에 나선 것. 렌탈 산업이 오는 2020년 40조원을 돌파되는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스마트오피스 시장도 성장할 전망이다.…
2018 공유서울페스티벌에서 펼쳐진 공유포럼 공유기업을 한 자리에서 만나보고 체험해 볼 수 있는 2018공유서울페스티벌이 상암동 문화비축기지에서 9월 7일(금)에서 9일(일)까지 3일간 열렸습니다. 공유페스티벌에서는 국 내외 전문가와 함께 공유정책의 성과를 돌아보고 미래 비전을 세우기 위한 공유포럼이 열렸습니다. 1부에서는 공유도시정책 현황과 평가, 2부에서는…
집 내주고 차 태워주고…재해 때 빛나는 '공유경제' 美 허리케인 '플로렌스' 상륙 앞두고 에어비앤비·리프트 재해지역 지원 프로그램 운영 미국 동부시간으로 오는 14일 오전 초강력 허리케인 '플로렌스'가 미 남동부 해안에 상륙할 것으로 예상돼 주민들이 긴급 대피하고 있는 가운데 공유경제 플랫폼이 큰 힘이 되고 있다. 주거공유 플랫폼은 지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