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를 포함한 국내외 공유 기업 및 단체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공유문화, 공유활동, 공유경제와 관련된 보도와 인터뷰 등을 카테고리별로 이용해보세요!
‘공유문화도시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공유광주’가 탄생한지도 한달이 넘었습니다.
공유광주, 어떤일을 하고 있을까요?
9월이 시작되고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개관하였습니다.
국내, 외의 많은 사람들이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개관을 맞이하여 광주를 찾고 있는데요.
그런데 전당의 위치가 유동인구가 많은 광주의 중심가이다보니 주차난이 우려되는것은 당연하겠지요.
‘공유광주’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다소나마 해소하고자 민간 및 공공기관에서 무료 개방중인 공유주차장 정보를 제공하였습니다.
이 뿐 아니라 공유광주에서는 2096개의 공공, 민간 자원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시민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공유도시광주를 만들기 위한 공유광주의 노력은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바 입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공유광주가 제공하는 정보를 활용하고, 공유에 대해 이해하려는 시민들의 노력이 뒷받침 되어야 하겠지요.
공유광주와 시민들이 만나 공유도시광주로 거듭나는 날을 기대해 봅니다.
-> 기사 자세히 보기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441292400558471194&search=공유
공유경제라는 말이 여러곳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막상 주변에서 공유경제 사업체를 찾기란 쉽지 않습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기사에서는 국내 공유경제 사업이 어디까지 진행되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성공적으로 사업을 펼치고 있는 분야는 카셰어링으로, ‘쏘카’의 경우에 올해 예상 매출이 500억원일 정도로 큰 성장을 한 업체입니다.…
한국에서 공유경제가 화두가 되기 시작한 것은 불과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공유경제의 토대가 되는 디지털과 스마트폰등의 IT기술은 세계 어느 곳에도 뒤지지 않는 한국인데요. 이러한 이유로 IT전문 매체인 테크크런치에서는 한국을 공유경제에 있어 ‘얼리어답터’라로 지칭하였다고 합니다. IT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전쟁 이후의 산업 발전, K-팝등도…
미래학자 제레미 리프킨은 전 세계가 자본주의 시대에서 협력 시대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곧 자본주의가 쇠퇴하고 협력적 공유사회가 자리잡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처럼 변화하는 사회에 발맞춰 가기 위해서는 우리 주변의 공유활동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부터 알아보아야 할텐데요. 오늘 기사에서는 공유광주에서 매일 소개하고있는 여러가지 공유활동 중,…
(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기획재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9일부터 20일까지 서울 강남구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공유경제의 확산: 쟁점과 해법’을 주제로 2015년 서비스 선진화 국제포럼을 개최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는 공유 경제의 실태를 파악하고 공유경제 선진국의 경험을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정책을 모색하고자…
공유경제, 얼마나 알고 사용하고 있는 걸까요? 공유경제의 대표적인 기업으로 손꼽히는 우버와 에어비앤비! 이들이 진정 공유를 실천하고 있는지 혹은 ‘공유’라는 이미지를 브랜드 전략에 활용하는 것인지 의문을 던집니다. 벤클러 교수는 이들 기업은 공유경제가 아닌 온디맨드 경제로 분류 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인…
급하게 나오느라 우산을 못 챙겼거나 일기예보를 놓쳐 우산을 안 챙겼던 일! 누구나 한번쯤은 있는 경험이지요?우산에 대한 모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공유시스템이 브리티시콜롬비아 대학에서 시범 운영 중이라고 합니다. ‘움브러시티(UmbraCity)’라는 이름을 가진 이 서비스는 도시 전체에서 우산을 공유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입니다.도시 곳곳에 우산 스테이션을…
도시생활에서 가장 큰 불편은 아마도 주차난이 꼽힐 것이다. 가까운 학교 운동장을 이용할 수는 없는 것일까. 광주시가 추진하고 있는 ‘공유 문화’(共有 文化) 사업이 제대로 자리 잡으면 이 같은 고민은 상당 부분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공유 문화 사업은 주차장이나 회의실, 운동장, 문화시설, 자전거 같은 공동의 자원을 시민들이 무료로 나눠 쓰자는 캠페인이다. 예를…
공유경제가 새로운 경제모델로 제시됨과 동시에 많은 소음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우버, 에어비앤비등 공유경제를 대표하는 플랫폼들이 각 나라의 실정에 따라 위법이 되기도 하지만, 이들이 만들어내는 긍정적인 역할 때문에 배제하기도 힘든 것이 사실입니다. 결국은 새롭게 나타난 공유경제의 틀을 어떻게 만들고 확산시켜 나가느냐의 문제일 텐데요. 이를 위해서는…
< 2015시민아고라 정책공유대회 후 선정된 정책 공유 > 시민과 함께하는 12개 정책과제 선정 환경 및 도시재생 분과의 광주습지보전·거버넌스 관리체계 마련 보행자 중심의 교차로시스템 구축 사회적 경제분과의 사회적 경제·관계기관 집적화 추진 사회적 경제활동 생산품 우선구매 공시제 여성 및 청소년분과의 여성 장애인 산부인과 지정 과밀학급 팀 티칭을 위한…
“한국은 무엇인지도 모르는 것에 목말라하고 있는 것 같다. 전기 뒤 회로에 갇혀있다. 도시에 갇혀있다. 자연으로 나가야 한다.” 육식의 종말, 노동의 종말, 소유의 종말 등 일명 ‘종말’ 시리즈로 국내에서도 유명한 베스트셀러 저자이자 문명학자인 제레미 리프킨이 한국인에게 충고해주기 위해 꺼낸 화두는 ‘자연’이다. ‘2015 세계과학정상회의’에…
과거에는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사진이나 영상자료들을 큰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었는데 어느 때 부턴가 저작권문제로 인해서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필요한 이미지나 영상을 발견하여도 댓가를 지불하고 구입하여야 하는데요. 그렇다고 매번 돈을 내고 자료를 구입하기는 어렵지요. 이러한 상황에서 ‘공유저작물(공공저작물)’의 이해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줄…
공유경제에 대한 대화의 장인 ‘CC 글로벌 서밋 2015 ‘이 대한민국에서 열립니다. CC 글로벌 서밋은 2년마다 열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글로벌 컨퍼런스로 전세계 80여개 나라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저작권과 오픈소스, 공유경제에 대해서 이야기 합니다. 전혀다른 지점에 있는듯한 저작권과 공유경제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앞으로의 공유경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