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를 포함한 국내외 공유 기업 및 단체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공유문화, 공유활동, 공유경제와 관련된 보도와 인터뷰 등을 카테고리별로 이용해보세요!
'공'공연히 '유'명해요 '경제'적이죠개인용품부터 사무실까지 불필요한 비용 줄이면서 쓸만큼 쓰고 타인에게 빌려줘 효율적인 소비 트렌드로 각광
1. 솔로생활 3년차 직장인 A씨. 그의 소소한 취미중 하나는 이런저런 소형가전들을 자주 사고 바꾸는 것이다. 그가 늘 이용하는 곳은 인터넷 유명 포털사이트의 중고 카페. 키워드를 등록해놓으면 원하는 매물이 올라올때 즉시 스마트폰에서 푸시 알림이 울린다. 두어달 사용한 제품을 20~30%씩 저렴하게 사는게 매력.
2. 남양주 본가를 떠나 서울에서 생활하는 B씨. 물리적으로 먼 거리는 아니지만 주말에 본가에 방문할때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제법 시간이 오래 걸린다. B씨는 집 근처에 위치한 자동차공유업체 S사를 이용한다. 편하게 다녀오고, 부모님이 싸주시는 반찬까지 잔뜩 싣고 올수 있는데 요금은 5만원도 안한다.
3. 사회초년생 C씨. 얼마전 TV 맛집 프로그램을 보다가 즉흥적으로 친구들 세명과 춘천 여행을 떠나기로 했다. 펜션, 콘도는 아무리 싸게 잡아도 20만원 가까이 숙박비용을 지불해야한다. 해외여행때 이용했던 민박공유 서비스 에어비앤비에서 검색해보니 춘천시내 아파트를 1박에 3만원대 가격에 이용이 가능했다.
'공유경제', 장년층에게는 아예 생소하거나 혹은 들어봤더라도 아직은 이론에 불과한 개념 정도로 생각되는 단어다. 그러나 20~30대 젊은 세대들에게는 이미 실생활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서비스의 한 종류다.
위에 언급한 3가지 사례는 예를 들기 위해 만들어낸 것이 아니라 5년차 미만의 직장인 세명에게 실제로 수집한 내용이다. 몇년전만 하도 '카셰어링'은 대단히 모험적이고 시범적인 성격이 강한 서비스였다. 그러나 폭발적 성장은 아니더라도 조금씩 저변을 넓혀가면서 꾸준히 이용자들을 확보해나가고 있다.
에어비앤비는 말할 것도 없다. 해외 여행시 보다 현지인들의 삶속으로 들어가고 싶고, 덤으로 가격까지 저렴하다는 이유 때문에 이미 젊은 여행객들에게는 보편화된 서비스다.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기 위해 소유 보다는 빌려쓰고 같이 쓰고, 나눠쓰는 것이 점차 효율적인 소비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것이다.
■필요한 만큼만 쓴다
공유경제(sharing economy)는 한번 생산된 제품을 여럿이 공유해 쓰는 협력 소비를 기본으로 한 경제방식을 말한다. 물품, 생산설비, 서비스 등을 개인이 소유할 필요 없이 그냥 쓸만큼 쓰고 다른 사람에게 빌려 주는 것이다. 하버드 대 로렌스 레식 교수가 2008년 그의 저서 '리믹스'에서 이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KB증권이 집계한 바에 따르면 전세계 공유경제 시장규모는 2013년 150억 달러에서 2025년 5개 주요 공유경제 분야의 잠재가치가 3350억 달러로 약 20배 증가할 것이라고 한다. 우리는 모르는 사이 이미 세계 곳곳에서는 공유경제가 생활속에 파고 들고 있다는 얘기다.
■우리주변 공유경제 어떤게 있나
에어비앤비나 카셰어링은 이미 널리 알려진 서비스다. 서울시의 자전거 공유서비스도 이용자들이 제법 많다.
이외에도 아직은 생소하지만 입소문을 타고 인기를 얻는 공유 서비스들이 있다.
'더클로젯', '살롱드 샬롯', '코너마켓' 등은 패션아이템을 전문적으로 중계하는 서비스다. 입지 않는 옷, 백화점 브랜드, 유아동 의류등 나름대로 특화되어 있다.
위워크는 소품이 아니라 사무실을 공유하는 서비스다. 강남역점을 비롯해 을지로점, 삼성역점, 역삼역점, 광화문점, 여의도역점을 운영중인데, 휴게실과 파티장까지 갖춘 공동공간안에 자기만의 작은 사무실을 임대해서 사용하는 개념이다.
자전거 공유는 서울을 넘어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다.지자체별로 이름은 다르지만 대체로 이용방법은 비슷하다.
서울은 '따릉이'라고 불린다. 경기도는 '오바이크', 세종시 '어울링', 대전 '타슈', 여수 '여수랑' 등1시간~1일 1000원 수준에 이용 가능하다.
2018.05.13 파이낸셜뉴스 ahnman@fnnews.com 안승현
어르신 ‘손맛’으로 마을공동체 살리고 장학기금 기부도 [천지일보 부산=김태현 기자] 부산 서구(구청장 공한수) 아미동 어르신들이 오랜 경험과 노하우로 다져온 손맛으로 ‘아미골 행복밥상 공동체(아미골 행복밥상)’를 운영해 눈길을 끌고 있다. ‘아미골 행복밥상’은 지난 2014년 평생학습 빌리지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평생학습형 마을공동체로서…
한국 사회의 저출산, 고령화 현상이 깊어지고, 1~2인 가구가 늘어나며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한국인 다섯 명 중 한 명이 반려동물과 생활하고 있다고 한다. 바야흐로 '반려동물 인구 1천만 명‘의 시대이다. 이와 더불어 반려동물 관련 시장도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반려동물이 예전 애완동물의 개념을 넘어 가족의 일원으로 인정받으며,…
광주 광산구는 20일 오전 청사 상황실에서 광산구 공유촉진위원회를 열었다. 위원들은 회의에서 민선 7기 '공유도시 광산'을 구현할 계획에 대해 논의했다. 이와함께 박상희 광산구자원봉사센터 소장을 위원장으로 선출했다. 광산구는 지난 2015년 공유촉진 조례 제정을 시작으로 지역을 공유도시로 만드는 사업을 지속하고 있다 .기사 원문 : 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363616…
이미 몇년 전부터 많은 전문가는 중국의 IT환경이 한국보다 훨씬 크고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말해왔다. 실제로 ‘BAT’로 불리우는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등 중국 IT기업은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했다. 실제 텐센트(6위)와 알리바바(8위)는 글로벌 시총 톱10 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BAT뿐만 아니라 영민한 기술력으로 무장한 하드웨어 및 O2O 스타트업은 중국의 생활 환경을…
규제혁신 없인 미래 없다 해외선 공유업체들 급성장 中, 2016년 차량공유 합법화 / 갈등 생기면 대안 만들어 해결 / 美는 숙박공유 허용하며 과세 / 택시 반발 막으려 규제 완화도주요 국가들은 ‘공유경제’를 경제 성장과 고용 창출의 발판으로 삼고 있다. 대부분 미리 규제하기보다는 문제가 생기면 바로잡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한국의 공유경제 관련 업체들이 원하는…
현재 대부분의 거래는 중계자가 수수료와 이용비를 독점하고 있는 중앙집중형 구조이다. 이러한 중개업체들의 중앙집중형 구조는 공공재의 독점을 야기하고 각 경제 주체가 그들의 경제 능력이나 건재여부에 상관없이 경제적 의존성을 다른 하나의 경제에 의존하게 한다. 최근 Blue Whale Foundation에서 제안한 협동조합형 공유경제 모델은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해주고…
승차ㆍ숙박 공유, 피해 보는 계층에 합리적 보상체계 마련해야 “호주ㆍ미국 우버택시, 승객당 1달러씩 모아 기존 택시기자 지원 ”자영업자 대책엔 “환산보증금 상한선 인하 검토”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9일 “혁신성장의 한 부분으로 추진하는 공유경제를 마치 정부에서 규제를 풀어 모두 허용해주겠다는 것으로 이해하지 말아달라”고…
정부, 8대 혁신성장 선도사업 외 바이오ㆍ공유경제 등도 투자 확대 정부가 초연결지능화, 스마트공장 등 8대 선도사업 외에 보건의료‧바이오, 공유경제, 반도체 등 제조업도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정해 투자를 확대하기로 했다.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은 7일 혁신성장본부 회의실에서 자문위원 위촉식을 진행하고 간담회를 열어 미래먹거리 산업에 대한 투자방안을 논의했다.…
특별한 날만 입는 드레스, 일정 시기에만 필요한 완구 대여 (서울=연합뉴스) 이해영 기자 = "소유 보다 공유"를 중시하는 이른바 "공유"서비스에 일본 백화점 업계가 동참하기 시작했다. NHK, 아사히(朝日)신문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긴자미쓰코시(銀座三越)' 백화점과 '다이마루마쓰자카야(大丸松坂屋)'는 특별한 경우에만 입는 드레스와 일정한 시기에만…
공유 자전거가 대표적, 엄청나게 버려져 한정된 자원을 독점과 경쟁이 아니라 공유와 협동의 개념으로 나눠 쓴다는 좋은 이념에서 출발한 이른바 공유경제 산업이 중국에서 애물단지가 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심지어 일부 식자층으로부터는 공유경제가 한정된 자원을 무분별하게 낭비하도록 만드는 파괴적 산업이라는 극단적 비난을 받을 만큼 궁지에 몰리고 있기도 하다. 특단의…
김동연 부총리, 혁신성장본부 방문(서울=연합뉴스) 한종찬 기자 =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 30일 오전 서울 세종대로 대한상공회의소 내 혁신성장본부를 방문해 직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saba@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 정부가 민관합동으로 혁신성장업무를 전담하는 혁신성장본부 공동 민간본부장에 카셰어링 앱 쏘카의 이재웅 대표를 선임한다.…
외식업 공유경제 플랫폼 ‘나누다키친’ 심각한 청년 취업난과 ‘쿡방’(Cook+방송)의 인기가 맞물리면서 외식 창업에 눈을 돌리는 청년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식당을 열려면 점포를 빌려야 하는데 비싼 임대료가 발목을 잡는다. 이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게 최근 등장한 외식업 공유경제 플랫폼이다 .김유구(37) 나누다키친 대표는 24일 “점포주와 창업주 모두 임대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