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를 포함한 국내외 공유 기업 및 단체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공유문화, 공유활동, 공유경제와 관련된 보도와 인터뷰 등을 카테고리별로 이용해보세요!
SK텔레콤이 휴대폰 리스(임대)사업에 진출한다. 휴대폰 소비패턴도 소유에서 공유로 일부 전환될 전망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맥쿼리인프라자산운용과 협력해 휴대폰 리스사업 진출 준비를 마치고 이달 중 관련 계획을 공식 발표한다.
맥쿼리가 제조사로부터 단말기를 매입하고, SK텔레콤 고객은 이를 빌려쓰는 형식이다.휴대폰을 빌려쓰는 소비자는 단말기 구매비용을 아낄 수 있다
가령 종전처럼 단말기를 구입할 경우, 소비자는 단말기할부금과 함께 할부수수료(5.9%)를 내야한다. 리스를 이용하면 할부수수료가 없다.
또 리스의 경우에는 단말기의 예상 잔존가치를 가정하고 계약을 맺는다.
100만원짜리 휴대폰의 잔존가치를 계약시 20만원 설정하면, 20만원을 제외하고 80만원을 할부금으로 나눠내는 것이다.
잔존가치가 높을수록 리스료가 낮아진다. 때문에 리스 대상 단말기로는 중고가격이 높은 경향을 띠는 삼성전자와 애플의 프리미엄 제품군이 지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리스 모델 도입시 이통사들은 대규모 단말기 공급에 필요한 자금운용 리스크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자금 부족으로 고가단말기 공급에 어려움을 겪던 알뜰폰은 리스 시장 확대가 반갑다.
'고가폰 리스+알뜰폰 요금제' 형태가 이통시장의 옵션으로 등장하기 때문이다. 한편 리스 시장이 커지면 휴대폰 교체 주기가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에는 신형 휴대폰의 출시, 휴대폰의 매력도가 교체 수요를 견인했다면, 리스 시장에서는 리스기간 만료가 자동으로 교체를 유발한다.
소비자의 휴대폰 교체주기 연장에 고민하던 제조사 입장에서는 호재다. 다만 휴대폰 리스가 실제 어떤 효과를 낼 지는 예상하기 힘들다.
리스가 보편화된 자동차와 달리, 휴대폰 단말기 자체의 구매 부담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
일시불로 단말기를 구매하는 자급제단말기도 잘 팔리고 있다. 또 할부수수료와 잔존가치에 따른 절감액도 평균 월 몇 천원 수준이라 통신비 인하 효과가 크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출처: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51609184777286
■ 경제와이드 이슈& < 앵커>정부가 활력을 잃어가는 경기를 되살리기 위해 혁신성장의 한 축이라고 할 수 있는 공유경제 활성화 대책을 내놨습니다. 사회 전반 분야의 규제는 완화하고 지원은 늘린다는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와 더 알아보겠습니다. 최나리 기자 나와있습니다. 정부가 어제(9일) 회의를 열었군요? < 기자>홍남기 부총리…
지난달 18일 오후 택시업계 종사자들이 광화문에서 열린 택시 생존권 사수 결의대회에서 ‘카풀 앱 불법 영업 OUT’이라 적힌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배우한 기자 공유경제는 가파른 성장세만큼 심한 성장통도 앓고 있다.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에 시장을 잠식 당하는 기존 경제 주체들의 반발이 큰 탓이다. 전문가들은 공유경제라는 시대적 흐름을 거스를 수 없는…
[에디터통신] "공유경제와 함께한 하루"미래학자로 분류되는 <소유의 종말>의 저자 제러미 리프킨이 그의 책에 저술한 바에 따르면 살면서 반드시 소유해야 하는 것은 그리 많지 않다고 한다. 미국의 시사주간지 타임(TIME)은 ‘세상을 바꿀 수 있는 10가지 방법’이라는 기사에서 한 가지 방법으로 ‘공유 경제(Economy of Communion)’ 를 소개했다. 이 기사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이웃과 도서를 공유한다는 ‘행복나눔 도서관’ 아이디어가 인천시 공유경제 활성화 공모에서 최우수작으로 선정됐다. 시는 지난 10월22일부터 11월2일까지 공유경제 활성화 및 인식 확산을 위한 아이디어를 공모해 행복나눔 도서관을 포함 4건을 당선작으로 선정했다고 5일 밝혔다. 행복나눔 도서관은 앱을 활용 도서목록을 만들어 이웃과 공유하는…
‘디지털 노마드(Digital Nomad)’라는 단어를 알고 계신가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한 자리에 머물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인터넷과 기기만 있으면 자신의 일을 하며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이들을 일컫는 말입니다. 최근 IT와 정보통신 기술을 접목해 업무공간의 자유도가 높은 소규모 벤처기업, 스타트업이 많아지며 자연스럽게 공유오피스에 대한…
[서울시소식] “국내 주요 지자체의 공유경제정책” 이곳 공유허브는 서울시의 공유정책 및 공유기업의 사례를 주로 다루고 있습니다. 이는 2012년 국내 최초로 공유도시를 선포하고, 공유촉진조례를 제정한 목적에 맞추어 시민들에게 더욱 많은 공유경제에 관한 정보를 알려주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서울시만이 공유경제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공유경제의 우려요인 “공유거래 플랫폼은 사업자? 비사업자?” 지난 시간에 이어 공유경제가 가지고 있는 우려요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존공급자와 기존생산자의 문제는 아직도 풀리지 않은 문제임에 틀림이 없습니다. 하지만 그 기반에는 우리나라의 제도적 기반에서 기인한 문제들도 다수 존재합니다. 아직 우리나라에는 공유경제 관련 법제도가 미비하여…
공유경제의 우려요인, “누구를 위한 공유경제인가.” 이곳 공유허브는, 서울시의 공유경제 정책과 이 정책이 우리 사회에 어떤 선한 영향력을 끼칠 것인가에 대해서 시민들과 토론을 하고 생각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이런 논의 덕에 공유허브는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경제가 어떤 것인지 알려줄 수 있게 되었고 나아가 공유경제가 서울을 이해하는 하나의 새로운 코드로 자리잡을…
의류 공유서비스 ‘프로젝트 앤’이 남긴 것들 2016년 9월 23일, SK플래닛은 ‘프로젝트 앤’이라는 서비스를 공식 런칭했다. ‘프로젝트 앤’이란 패션 스트리밍 서비스, 즉 의류를 공유하는 서비스였다. 옷을 개인이 소유하지 않고 패션 플랫폼과의 연계를 통해 옷이 필요한 시간에 자신이 원하는 장소에서 옷을 받아 입을 수 있도록 하겠다는 야심 찬 런칭 당시의…
공유오피스 스페이시즈 체험기 공유경제가 대세다. 차도, 옷도 빌려 입는다. 최근엔 업무공간인 사무실을 빌려주는 공유오피스도 인기를 끌고 있다. 무심코 “그냥 예쁜 카페를 가도 될 일”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공유오피스에 숨은 함의含意는 작지 않다. 공유와 공감, 이 시대적 철학이 이곳에 깃들어있기 때문이다. 더스쿠프(The SCOOP)가 공유오피스를 직접 써봤다. 그…
국내에선 아직 불법에 가깝지만 미래에는 풀릴 차량공유 서비스에 적합한 자율주행차가 도로 위를 달린다.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박정호)은 연세대 글로벌융합공학부 김시호 교수 연구팀과 손잡고 국내에서 처음으로 경차에 딥러닝 기반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해 임시운행 허가를 취득했다고 4일 밝혔다. 경차는 차량 내 공간이 좁아 자율주행차용 장비 탑재에 어려움이 있어,…
“일본의 공유경제 – 지자체의 사회문제해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소유에 대한 또 다른 시각을 갖도록 하였습니다. 과거의 전통경제와 현재의 공유경제는 아래의 표와 같이 여러가지 다른 특징들을 나타냅니다. 우선 소유에 대한 인식이 변화했습니다. 배타적 소유보다 이용가치를 중시하는 합리적인 소비가 증가하면서 교환, 거래, 대여 등의 공유경제가 급속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