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를 포함한 국내외 공유 기업 및 단체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공유문화, 공유활동, 공유경제와 관련된 보도와 인터뷰 등을 카테고리별로 이용해보세요!
소유 않고 나눠쓰는 공유경제 ‘확산’셰어하우스·카셰어링·패션셰어링 ‘붐’
![]() |
소유하지 않고 나눠쓰는 공유경제가 확산되면서 광주지역에도 대학가를 중심으로 셰어하우스가 자리잡고 있다. 사진은 광주 북구 매곡동에 위치한 한 셰어하우스의 거실. /구름집쉐어하우스 제공 |
![]() |
광주 북구 매곡동에 위치한 한 셰어하우스의 침실. /구름집쉐어하우스 제공 |
소유하지 않고 나눠쓰는 ‘현대판 아나바다’로 불리는 공유경제가 확산되고 있다.
공유경제란 이미 생산된 제품을 소유하지 않고 여럿이 공유해 쓰는 협업 소비를 기본으로 한다. 대표적으로 한집에서 여러 명이 사는 ‘셰어하우스’가 공유경제다.
또 자동차를 빌려 타는 ‘카셰어링’, 의류나 장신구를 대여하는 ‘패션셰어링’까지 공유문화가 다양한 분야로 번지고 있다.
광주에도 셰어하우스가 대학가를 중심으로 젊은 층의 새로운 주거형태로 떠오르고 있다.광주 북구 매곡동에 있는 한 셰어하우스.
49평대 아파트를 리모델링해 꾸며놓은 이곳엔 7명의 입주자가 함께 살고 있다. 개인 공간인 침실을 제외한 부엌과 욕실·화장실 등은 공동으로 사용한다.
보증금은 월세의 두 배로 책정됐다. 월세는 다인실 20만원, 1인실 30만원선이다. 보통 고시원이나 원룸보다는 쾌적하고 넓은 공간을 보다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회초년생이나 대학생 등이 주로 찾고 있다.
대학생 A(22·여)씨는 “혼자 살다 보니 끼니를 해결하기도 어렵고 무서울 때도 많았는데 한집에서 다른 입주자들과 가족처럼 지내고 있다”며 “보통 원룸보다 저렴하고 인테리어도 깔끔해 만족한다”고 말했다.
자동차 셰어링은 대표적인 공유경제 서비스로 꼽힌다. 자동차 셰어링은 차량을 구매하지 않고 원하는 장소에서 필요한 시간 만큼 차량을 대여하는 서비스다.
대부분 서비스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뤄진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원하는 시간과 장소를 입력한 후 차고지와 차종을 선택한다.
예약한 시간에 맞춰 장소에 도착하면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스마트키로 차량을 이용할 수 있다.
기존 렌터카와의 가장큰 차이는 현장방문이 없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이 가능한 점이다.
또 30분단위의 짧은 시간도 이용이 가능하며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후불결제가 가능하다.패션업계에도 셰어링 문화가 퍼지고 있다.
웹이나 모바일 앱을 통해 의류, 장신구, 가방 등을 대여한다. 단순 패션제품 대여 서비스뿐만 아니라 전문스타일리스트가 사용자의 정보를 고려해 옷을 골라 대여해 주는 서비스까지 등장했다.
패션셰어링의 경우 소비자가 원하는 의류를 웹이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대여하면 정해진 기간 동안 이용한 뒤 기간이 끝나면 다시 수거해가는 방식이다.
한편, 컨설팅기업 PwC는 세계 공유경제 시장규모가 지난 2013년 150억 달러에서 2025년에는 3천35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한아리 기자 har@namdonews.com
출처: http://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66094
2021.04.08 광주공유센터에서 공유연대협의체 다문화 분야 회의를 진행하였습니다. 회의 시작 전 간단하게 공유센터의 다양한 공간들을 라운딩하며 공유에 대한 고민을 가지는 시간을 가지고 회의는 공유광주 홈페이지의 공유정보 카테고리 활성화 방안과 최근 각 기관의 다문화 이슈 등의 주제를 통해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졌습니다. …
2021.04.06 광주공유센터에서 21년도 찾아가는 공유학교 사업 진행을 위한 회의를 진행하였습니다. 교재 수정을 위해 다양한 의견들을 주고 받고 반영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찾아가는 공유학교를 통해 연령이나 성별 등에 국한되지 않고 모두를 아우르며 공유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면 좋겠습니다.
2021.03.31 광주공유센터에서 공유연대협의체 장애인 분야의 대표님들과 함께 회의를 진행하였습니다. 공유광주 홈페이지 내 장애인 카테고리 활성화 방안과 공유자원 장애인 편의시설 점검, 장애인들을 위한 컨텐츠 확산 방안 등 심도 있고 다양한 내용들을 다루었습니다. 공유센터와 각 기관들의 연대를 통해 장애인들을 위한 다양한 정보들이…
2021.03.17. 광주공유센터에서 공유연대협의체 (어린이 분야) 회의가 진행되었습니다. 각 지역아동센터와 공유센터의 연대방안을 협의하고 공유센터에서 진행하고 있는 공유컨설팅, 생활 속 공유아이디어 공모전 등에 기관들이 어떻게 협력하고 참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졌습니다. 광주지역의 어린이 분야를 대표하는 분들과 함께 공유센터의…
광주공유센터에서 광산구 이야기꽃도서관에 이용자들과 공유하고 싶은 책들을 [모두의 서재]에 기증하였습니다. "재미있는 책들을 통해 꿈을 키우고, 공유와 환경을 생각하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라는 문구도 함께 전달하였습니다. 이야기꽃도서관 [모두의 서재]는 기증도서로 운영되는 전시공간입니다. 도서관에서 여러분의 이름으로 책장을 만들어보세요. …
시사매거진 http://www.sisa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9368 위클리오늘 http://www.weekly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349096 매일일보 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806328 불교공뉴스 http://www.bzer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71086 뉴스워커 http://www.newswor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708 시민일보 http://www.siminilbo.co.kr/news/newsview.php?ncode=1065581353397798 …
광주시가 공유문화 확산과 공유경제 활성화를 위해 4월7일까지 '생활 속 공유아이디어' 공모전을 실시한다. 공모 주제는 ▲교통, 경제, 환경, 주거, 관광 등 실생활 적용 공유아이디어 ▲공공 및 민간자원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공유활성화 방법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공유물품개발 등이다. 참가는 광주시민, 광주 소재 학교 학생 및 직장인이면 누구나 가능하며 단체로도…
2021.03.10. 광주공유센터에서 연대협의체 청소년 부분의 대표님들을 모시고 회의를 진행하였습니다. 공유광주 홈페이지 내의 청소년 카테고리 활성화 방안과 공간 컨설팅을 통한 청소년 참여 프로그램 해결 방안 등 광주권에 있는 청소년들을 위한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되었습니다. 각 기관들과 공유센터의 협력과 상생을 통해 청소년들이 밝은…
2021.03.04 광주공유센터에서 공유연대협의체 회의가 진행되었습니다. 노인 분야의 전문가분들을 모시고 2021년 공유센터의 발전 발향과 연대 방향을 설정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날 회의에서는 공유센터 홈페이지의 노인 카테고리 활성화 방안, 해당 분야의 공유사업 활성화 방안 등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각 기관들과 공유센터가 노인 분야에서의 연대를…
2021.02.23. 광주공유센터에서 쉐어프렌즈 위촉식을 진행하였습니다. (행사는 방역 수칙을 준수하여 진행되었습니다.) 바쁜 시간을 쪼개어 방문해주신 서포터즈 여러분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왕성한 활동을 통해 공유센터 홍보는 물론 공유문화 확산에 함께 하는 쉐어프렌즈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021.02.16 광주공유센터에서 올해 첫 운영위원회 회의가 진행되었습니다. 참석자로는 하상용 재능기부센터 대표님, 정승기 자치행정과 주무관님, 장우철 광주공유센터 센터장님, 광주 흥사단 김성훈님, 손희정 광주소비자네트워크 대표님, 곽귀근 (주)문화인광주 대표님, 민현정 광주전남연구원 책임연구원님, 민경홍 (주) 아이미즐 대표님, 손평길 상무2동…
2021.02.05/08/15. 광주공유센터가 광주 KBS 미니다큐 프로그램에 출연하게 되었습니다. 주 내용은 공유우산의 업사이클링 제품화, 버려지는 동화책을 팝업북으로 재탄생 시키는 과정을 담아내었습니다. 사전 인터뷰와 이틀에 나눠 촬영이 진행되었고 직원들과 공유활동가 선생님들, 자원봉사자 분들까지 촬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