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뉴스

광주를 포함한 국내외 공유 기업 및 단체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공유문화, 공유활동, 공유경제와 관련된 보도와 인터뷰 등을 카테고리별로 이용해보세요!

(뉴스) 혁신 아이콘 공유경제, 플랫폼 업자의 '약탈' 막는 게 과제 기사 원문 :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

공유경제 10년의 빛과 그늘AI·블록체인 등 신기술 업고 날개2025년 3350억 달러, 시장 급성장택시 등 정규직 일자리 사라지고임시직 저임금·고용 불안에 신음

 

세계 최대의 자동차 공유기업인 우버가 2009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창업한 지 꼭 10년이 됐다. 자동차와 숙박공유(에어비앤비)에서 시작된 공유경제는 오피스·장비 등을 거쳐 유통·배달 분야(아마존 플렉스, 우버 플렉스)까지 영역을 넓히고 있다.공유경제는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를 한 사람이 독점하지 않고 공동으로 사용한다는 의미로 로런스 레시그 하버드대 교수가 2008년 만들어 낸 개념이다. 비용과 진입장벽이 낮아 효율성이 높고, 자원낭비로 인한 환경오염도 적다는 특징이 있다. 덕분에 세계 금융위기 이후 움츠러든 경제 상황에서 급성장했다.세계경제포럼(WEF)은 2013년 150억 달러로 기존 렌털 경제의 20분의 1 수준에 불과했던 세계 공유경제 규모가 2025년에는 전통 렌털 경제와 맞먹는 3350억 달러 규모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여기에 인공지능(AI)·블록체인 등 신기술 도입으로 공유경제의 효율성과 적용 분야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하지만 이런 급성장은 예기치 못한 그늘을 드리우고 있다. 지난해 한국 카카오의 승차공유(카풀) 서비스 도입을 둘러싸고 벌어진 논란의 와중에 두 명의 택시기사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선진국에서도 우버·그랩 등 차량공유 서비스의 확대로 일자리를 잃게 된 택시운전사의 극심한 반발을 이미 겪었다.
 
공유경제의 문제점은 세계화의 부작용과 비슷하다. 세계화의 진전으로 전 세계적으로는 소득의 불균형이 적지 않게 해소됐다. 자동차 제조업을 비롯한 선진국의 일자리가 중진국으로, 신발 제조 같은 일자리는 개발도상국으로 넘어갔기 때문이다. 하지만 선진국과 중진국에서는 안정적인 일자리가 사라지면서 양극화 현상이 심해졌다. 비슷한 일이 공유경제 플랫폼에서도 벌어지고 있다. 택시 운전사, 호텔 직원, 배달 사원 등의 정규직 일자리 대신 공유경제 플랫폼에서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긱 이코노미'가 활성화된 것이다. 긱 이코노미(Gig Economy)는 1920년대 미국 재즈클럽에서 연주자들을 단기로 고용해 이뤄지는 공연(긱)에서 유래됐다.영국 가디언은 "우버가 노동자들을 (산업혁명 초기인) 빅토리아 시대 스타일로 쥐어짜고 있다"고 보도했다. 장시간 노동을 하지만 겨우 생계를 유지하는 수준의 돈을 벌고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긱 이코노미 종사자들은 노동자가 아니라 우버 같은 플랫폼 사업자와 계약을 맺은 사업자기 때문에 최저임금이나 고용 보장, 실업보험 같은 노동법의 보호를 받지 못한다.이에 따라 공유경제의 그림자에서 벗어나기 위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과 영국에서는 플랫폼 노동자를 법적 임금 노동자로 대우해 최저임금과 실업보험, 유급휴가 등의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는 판결이 잇따라 나왔다.

 

 

기사 원문 :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7106200

 

  • 등록된 이미지가 없습니다.
  • 등록된 이미지가 없습니다.
  • 등록된 이미지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