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를 포함한 국내외 공유 기업 및 단체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공유문화, 공유활동, 공유경제와 관련된 보도와 인터뷰 등을 카테고리별로 이용해보세요!
오이씨에서 주최하는 공유경제 시작학교를 공유허브에서도 소개한 적이 있는데요(관련글 보기)부산에서도 처음으로 공유경제 학교 ‘공유경제 플레이숍’이 열렸다고 합니다.다양한 아이디어가 쏟아져 나온 현장을 한겨레에서 자세히 소개해주셨네요.
“공유경제 플레이숍은 부산형 공유경제 확산 활동을 펴기 위해 시민들이 지난해 11월 만든 ‘공유경제 시민허브’와 부산시 출자기관인 부산경제진흥원이 함께 열었다. 빈방·자동차·물품·재능·지식 등을 나누면서 소비자와 공급자가 함께 이익을 누리는 공유경제를 널리 알리고 실생활에 뿌리내리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함께 찾아보자는 취지다. 시민들이 직접 자신의 잉여 물품과 재능으로 부가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사업화 가능성을 따져보는 기회를 제공하자는 뜻도 있다. 주최 쪽은 올해 7차례 더 공유경제 학교를 열 계획이다.
동구 초량동의 주민 정은숙씨는 “6월부터 도시재생지역에서 내국인을 상대로 민박이 허용된다고 한다. 마을 빈집에 손님을 유치하기 위한 좋은 방안을 찾아달라”고 부탁했다. 이일근(24·부경대 경영학과 1년)씨는 “공유경제에 관심이 많았는데 부산에서 공유경제 학교가 열려서 정말 좋았다. 오늘 첫 수업에서 공유경제 사업을 하려면 현실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서종우 ‘공유경제 시민허브’ 대표는 “제출된 모둠 의견은 도시재생지역 주민들에게 전달할 계획이다. 아직 공유경제 개념이 생소하고, 지방 첫 공유경제 학교인 것을 고려하면 첫번째 강의는 성공한 것으로 본다”고 평가했다.
-> 기사 자세히 보기: 부산 첫 공유경제학교 ‘후끈’ 토론회
출처:http://sharehub.kr (CC BY)
오이씨에서 주최하는 공유경제 시작학교를 공유허브에서도 소개한 적이 있는데요(관련글 보기)부산에서도 처음으로 공유경제 학교 ‘공유경제 플레이숍’이 열렸다고 합니다.다양한 아이디어가 쏟아져 나온 현장을 한겨레에서 자세히 소개해주셨네요. “공유경제 플레이숍은 부산형 공유경제 확산 활동을 펴기 위해 시민들이 지난해 11월 만든 ‘공유경제 시민허브’와…
우리는 왜 공유를 해야할까요?공유는 우리에게 어떤 좋은 점을 가져다 줄까요?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봐야하는 카셰어링에 대한 소식입니다. “카셰어링이 뿌리내려야 한다는 당위성은 확실하다. 카셰어링으로 자동차 운행 총량이 줄어들면 그만큼 탄소 배출도 줄어들어서다.실제 독일의 경우 카셰어링 가입자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54% 감소했으며, 대중교통 이용률은…
최근들어 공유기업의 서비스를 이용한 사례 기사가 많이 소개되네요~오늘 소개해드릴 매일경제 “커피한잔 값으로 자동차 빌려써요” 기사에서는 장난감 도서관, 키플, 쏘카, 열린옷장 등의 구체적인 비용과 이용사례를 담고 있습니다. 공유 기업을 이용하고자 할 때 비용에 대한 부분이 제대로 제시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선뜻 지갑을 열거나 다가가기 어려운 면도…
지난주부터 소개해드렸던 ‘소유에서 나눔으로 공유경제가 뜬다’ 의 마지막 시리즈입니다. 공유 경제는 지금 그 어느 때보다도 세계의 관심과 이목을 받고 있습니다.기존의 경제구조에서 불거진 문제들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미지 출처 – 매일경제 기사 기사에서도 언급한바와 같이 실제로 공유경제가 창출하는 경제 규모는…
공유허브를 주관하는 비영리 단체 CCKorea(Creative Commons Korea)를 아시나요?저희 공유허브는 ‘온라인 컨텐츠 공유’를 목표로하고 있는 CCKorea에서 발전되어 여기까지 오게 되었어요. 허브지기인 저도 CCKorea에서 일하고 있고요.바로 그 CCKorea의 프로젝트 리드이신 ‘윤종수 변호사’님의 강연이 지난 4월 30일 삼성동에서 있었습니다. 서울 삼성동에 위치한 한국인터넷기업협회에서…
장난감 도서관을 아시나요? ‘큰 맘 먹고 사준 장난감을 하루 이틀 가지고 놀다가 거들떠 보지도 않으면, 돈 아깝고 속상하고, 이유 없이 떼를 쓰거나 친구들과 다투면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모르겠어요.’ -중략- 어릴 때 다양한 자극을 주면 좋다고 해서, 장난감을 많이들 사지요. 하지만 우리 아이가 좋아하는 장난감은 따로 있어요. 모두 다 사 볼 수도 없고, 사놓고 가지고…
안녕하세요 허브지기입니다.지난 주 서울 신라호텔에서는 스마트클라우드쇼 2014가 열렸었는데요. “연결하라! 배워라! 세상을 바꿔라!”라는 주제를 가지고 공유경제와 ICT기술,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온라인 공개 강의)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그 중에서 공유경제 토론을 위해 아룬 순다라라잔 뉴욕대 교수와 Peers의 공동 창립자 나탈리 포스터가 한국을 찾아주었습니다.…
공유경제로 생겨난 시장과 기존법과 마찰을 일으키며 논란이 계속되고 있죠.기존에 없던 새로운 영역의 경제 활동인 만큼 현행법에 공유경제 서비스를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다른 나라의 경우, 새로운 법과 제도를 만들어 공유경제 서비스와 기존 산업의 양립을 허용하고 있는 추세라고 하는데요. 국내외 공유경제 서비스와 현행법이 만나 어떤 문제가 발생하고,…
광주시 광산구는 지난 28일, 유휴자원의 효율적 활용 및 공유문화 확산을 통한 공동체 의식 형성을 위해 ‘소유를 넘어 공유로, 더불어 따뜻한 공유도시 광산’을 비전으로 선포했습니다. 중점사업으로, 마을 안에 공구도서관·공유서가·공유장터 등을 만들고, 공·폐가를 활용한 마을공동체 공간조성과 주차문제해결 등 다양한 사업들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하네요.…
광주 광산구가 공공시설 유휴공간을 주민에게 개방한다고 합니다.광산구민이면 누구나 구청, 동 주민센터, 도서관, 복지관, 문화시설, 체육시설 등 39개 시설, 76개 공간을 마을행사, 주민회의, 동아리활동, 교육 등 주민공동체 활동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해요. 공공시설 유휴공간 이용 안내 >> http://www.gwangsan.go.kr/nv/menu/menu.php?S=S36&M=170701000000위 링크를 통해 시설현황,…
길었던 설 연휴가 끝나고, 일상으로 복귀! 완벽 적응 하셨나요? 다음 연휴까지 65일 남았다고합니다. 힘을 내요 우리! 공유허브 지기에게, 그리고 광주 시민들에게! 반가운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광주시가 공유도시 만들기 기본계획을 수립했다고 보도 되었습니다. 어떠한 그림을 그리고 있는지 함께 살펴도록 하겠습니다 광주시가 시민이 실생활에서 ‘더불어 누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