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를 포함한 국내외 공유 기업 및 단체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공유문화, 공유활동, 공유경제와 관련된 보도와 인터뷰 등을 카테고리별로 이용해보세요!
현재 대부분의 거래는 중계자가 수수료와 이용비를 독점하고 있는 중앙집중형 구조이다. 이러한 중개업체들의 중앙집중형 구조는 공공재의 독점을 야기하고 각 경제 주체가 그들의 경제 능력이나 건재여부에 상관없이 경제적 의존성을 다른 하나의 경제에 의존하게 한다.
최근 Blue Whale Foundation에서 제안한 협동조합형 공유경제 모델은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해주고 있다.
협동조합형 공유경제는 경제활동을 함에 있어 협동조합주의 기반 즉, 온·오프라인을 유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면서 기존의 주주 자본주의의 단점을 극복하고 새로운 자본주의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협동조합형 공유경제 시스템에서는 각 거래활동이 직접 연결되어, 스스로의 통화를 생성 및 유통하게 되고 다양한 실물화폐 및 암호화폐와도 통용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하나의 통화에 위기가 온다 해도 변하지 않는 가치를 가지고 경제활동을 이어갈 수 있다. 블루웨일은 이러한 협동조합형 공유경제구조를 실제경제 활동에 도입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성공적인 ICO를 마친 블루웨일은 8월,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경제를 만들기 위한 첫 번째 솔루션으로, 스플래시(결제모듈, 급여포함 인사 통합 관리시스템)을 개발 중이고 하반기 계획에 대한 준비와 홍보 마케팅을 진행할 예정이다.
블루웨일이 개발중인 ‘스플래시’는 기존의 결제 모듈이나 인사관리 시스템처럼 상인들이 사용하는 비용을 중간 매체에 납부하는 것이 아니라, 정반대로 사용하면 할수록 실물경제에 활용될 수 있는 가치를 되돌려 주는 플랫폼이다. 쉽게 말해 사용하면서 돈을 벌 수 있는 기업형 SaaS(Software as a Service)인 것이다.
이는 블루웨일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무료로 이용하고 존재하는 실물경제의 흐름을 지속하는 동시에, 리워드 뱅크를 마련하여 축적 기간에 따른 이율과, 그들의 광고/참조 제공/검증의 기여활동에 따른 통용 화폐를 지급해 주는 비즈니스 솔루션이다.
특히 스플래시의 인사 통합관리시스템은 급여 등의 고용관리를 빠르고 편리하게, 고용인과 피고용인 모두가 돌려받는 실물경제 가치로, 혜택과 복지를 지원받게 되어 고용의 어려움을 덜어주게 된다.
수십 년간 행복이 가득한집, 럭셔리, 맨즈 헬스와 같은 다양한 월간지와 서울 디자인 페스티벌과 같은 굵직한 디자인 행사를 주관해온 국내 최고의 미디어 업체인 디자인 하우스와 함께 블루웨일은 새로운 공유경제 기반의 마켓플레이스 플랫폼을 준비 중이다.개인의 취미와 문화생활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상품화시켜 누구든지 참여할 수 있게 하는 복합 마켓 플레이스이다. 상단에 소개된 스플래시 시스템이 탑재되는 이 플랫폼은 기존 공유경제 플랫폼에서 느꼈던 한계를 넘어 무형, 유형 자산을 동시에 활용하면서 주최자나 참석자 구분없이 흥미로운 문화를 투명한 거래로 즐길 수 있는 장이 될 것이다.이들이 하반기에 기획하고 있는 행사는 어떤 것인가.
메이커 페어 서울 : 일단 9월 29-30일에 열리는 대대적인 문화행사, 메이커 페어 서울에 파트너로 참여하게 된다.메이커 페어는 기술과 문화 그리고 트렌드의 통합을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으로, 전국 각지에서 메이커들이 모여 그들의 흥미로운 작품을 공유하는 세계적인 행사이다.
서울 디자인 페스티벌 : 매년 홀리데이 시즌을 더욱 설레이게 하는 서울 디자인 페스티벌. 주최 측인 디자인하우스와 협력하여 디자인과 문화 관계에 블루웨일의 에코 시스템을 탑재하면 어떤 시너지가 일어나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 이다.그 밖에도 통합 마케팅 플랫폼인 벌로컬 및 문화, 미디어, 뷰티채널 등과 프로젝트 기획을 진행 중이다.
여기서는 어느 정도 블루웨일이 실현하고자 하는 빅픽쳐 그리고 준비 중인 공유경제 플랫폼들에 대해 조금은 알 것 같다. 개인이 의도하지 않았고, 이해하기도 힘든 비용과 불투명함이 존재하는 불편한 중간매체 의존형 거래시장에 블루웨일이 가져올 형동조합형 공유경제는 어떤 모습일지 기대된다.저작권자
© 아이티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기사
원문 : http://www.it-b.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472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01183 광주시가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내걸고 야심차게 도입한 무인 공영자전거 ‘타랑께’가 코로나19로 제대로 달려보지도 못하고 멈춰섰다. 중단 안내는 홈페이지와 전용 앱, 회원을 대상으로 한 문자로만 이뤄졌다. `타랑께’ 자전거들이 있던 자리는 아무런 안내 없이 텅 비어있는 상태다. 16일 광주시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http://m.newspim.com/news/view/20200715000722 [전북=뉴스핌] 이백수 기자 = 전북도는 유휴자원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도민의 편의를 증진하고 사회적·경제적 가치창출을 도모하고 지역의 공유문화 확산을 위해 온라인 기반 전북형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사업을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전북형 공유경제 온라인 플랫폼 구축사업은 공공과 민간이 보유하고 있는 공유 가능 자원을 다양한…
숙박공유 플랫폼 에어비앤비가 한국 경제에 미친 효과가 1조37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에어비앤비는 지난 1월 국내 이용자 1700여 명을 포함, 전 세계 호스트와 게스트 22만8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 에어비앤비의 경제적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2일 공개했다. 호스트 수입과 게스트 소비 추정액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에어비앤비 총…
진천 광혜원 플리마켓이 지역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있다. 사진은 지난달 열린 플리마켓의 한 장면. ⓒ 진천군 [충북일보=진천] '착한 공유경제'를 모토로 시작된 화랑광혜원 플리마켓 6월 행사가 14일 오후 4시부터 7시까지 광혜원 화랑공원에서 열린다.2년전에 시작돼 한 달에 한번 씩 정기적으로 열리고 있는 화랑광혜원 플리마켓은 광혜원면행복학습센터를…
[산업일보]중국 공유경제는 스마트폰 보급 및 모바일 결제 확대, 정책적 지원 증대 등에 따라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나, 최근 일부 문제점들이 노출되면서 제도 정비가 강화되고 있다.대외경제정책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공유경제는 성장세 둔화로 인해 자본 투자 규모가 감소했지만, 소수 기업으로 집중되면서 유니콘 기업 수는 사상 최대인 34개를 기록했다.중국 공유경제는…
개인간 디지털·공유경제 규모 2015년 204억→작년 1천978억원 공유경제 (CG)[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정수연 기자 = 에어비앤비나 카풀 등 온라인 기반의 개인 간(P2P) 공유경제 규모가 3년 만에 10배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숙박공유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90%에 달했다.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 간 디지털·공유경제 규모는 1천978억원으로…
[사진=픽사베이] [이뉴스투데이 송혜리 기자] # A씨는 주차면 공유서비스를 이용 중이다. 주차장 시설이 없는 ‘핫 플레이스’는 늘 주차가 최대 고민거리였는데, 주차면 공유서비스를 이용하고 나서는 인근 유휴 주차면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됐다. # B씨는 20개월 아기를 위해 장난감 공유서비스를 이용 중이다. 공유 플랫폼에서 아이 성장 단계에 맞는 장난감을 빌려오고…
2008년 미국 하버드대 법대 로런스 레식 교수가 최초로 사용한 개념인 ‘공유경제’는 한번 생산된 제품을 여럿이 공유해 쓰는 협력 소비를 기본으로 한 경제 방식을 뜻한다.즉, 물품은 물론 생산설비나 서비스 등을 개인이 소유하지 않고 필요한 만큼 빌려 쓰고 자신이 필요 없는 경우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는 공유 소비의 의미를 내포한다. 사진제공:개러지키친 공유경제는…
국토부, '토석정보공유시스템' 확대 공공기관이 발주한 공사 현장끼리 실시간으로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의 의무사용기관이 확대된다. 건설공사에서 낭비되는 흙을 줄이기 위해서다. ▲ [출처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는 '토석정보공유시스템(TOCYCLE) 이용 요령' 개정 고시를 통해 토석정보공유시스템 의무사용 기관 범위를 기존 국토부 소속 산하기관에서…
50+세대 창업, 공유점포 활용한다 ‘나누다키친’ 공유경제 기반 소자본 창업모델 발굴 [뉴스토마토 박용준 기자] 서울시가 50+세대의 새로운 일·창업 모델을 모색하며 활로 개척에 나선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위대한상사와 공유경제에 기반을 둔 50+세대의 안정적인 창업 모델 발굴에 나서는 내용으로 4일 협약을 맺었다. 위대한상사는 점포공유 플랫폼…
- 공유주방 심플키친 임태윤 대표 인터뷰[디지털데일리 이중한기자] “단순하게 시장 규모를 계산했을 때, 한국은 7500개의 공유주방 지점을 수용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 75만개의 음식점이 있다. 이중 10% 정도가 배달 음식점이다. 공유주방 한 개 지점에 10개 정도의 음식점이 입점한다. 7만5000개의 배달 음식점이 모두 공유주방으로 대체되면 7500개의 공유주방이 생겨나는 것이다.…
공유경제 10년의 빛과 그늘AI·블록체인 등 신기술 업고 날개2025년 3350억 달러, 시장 급성장택시 등 정규직 일자리 사라지고임시직 저임금·고용 불안에 신음 세계 최대의 자동차 공유기업인 우버가 2009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창업한 지 꼭 10년이 됐다. 자동차와 숙박공유(에어비앤비)에서 시작된 공유경제는 오피스·장비 등을 거쳐 유통·배달 분야(아마존 플렉스,…